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비대위, 외부 인사로 채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오는 19일 출범 예정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펼칠 쇄신인사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오대근기자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당장 비상대책위ㆍ주요당직ㆍ공천심사위를 누구로 채울지에 대한 인사 결정을 앞두고 있다. 비대위는 최고위원회의를 대신해 당을 이끌어 가는 지도부인만큼 비대위 인선에서부터 박근혜식 변화를 선보여 한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친박계를 포함한 당내 의원 다수는 당헌ㆍ당규상 비대위에 최대 15명을 채울 수 있지만 박 전 대표가 9명 내외에서 당안팎 인사를 기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친박계의 한 중진의원은 16일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비대위는 당 최고위를 대신하는 공식 지도부인 만큼 기존 최고위 멤버이면서 공식 직책을 맡고 있는 황우여 원내대표ㆍ이주영 정책위의장과 함께 중량감있는 원내인사외에는 당 바깥의 외부인사가 들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때 비대위 전원을 외부인사로 등용한다는 이야기도 나돌았지만 대부분의 의원들은 “청와대와 야당도 상대해야 하고 당의 공식 지도부나 마찬가지인데 원외인사로만 구성하는 것은 넌센스”라고 지적했다. 특히 친박계의 2선 후퇴 선언을 놓고 친박계 내부에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친박계 3선인 서병수 의원은 “친박은 안 된다는 게 더 작위적”이라고 했고, 재선인 이한구 의원은 “친박계의 2선 후퇴 주장에 동감을 표시한 적 없다. 계파 종식을 선언 해놓고 어느 계파는 안 된다고 하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친박계의 2선 후퇴를 공식 선언한 친박계 윤상현 의원도 “우리가 선언한 것이고 결정은 전적으로 박 전 대표에게 달려있다”면서 “현실적으로 박 전대표와 함께 일해보지 않은 사람으로만 구성하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긴 하다”고 공감했다. 친박계 의원들은 그러나 당직 일부에 소수의 친박계 인사가 들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비대위를 구성하면 곧이어 ▦사무총장 ▦비서실장 ▦대변인 등 주요 당직 인선에서 박 전 대표의 의중을 아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난 2005년 박 전 대표는 당 대표로서 인선을 하면서 당시 친이계 핵심인사를 등용하는 동시에 친박계 인사, 혹은 친이계와 대립각을 세우는 소장파 인사를 등용해 ‘탕평인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