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과학입국 다시 불 지피자] "퍼스트 무버 되려면 오픈 이노베이션이 필수"

김동섭 SK이노베이션 글로벌테크놀로지 총괄


"현재와 같은 무한 경쟁의 기업환경에서 원천기술을 확보해 빠르게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기 위해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필수입니다." 김동섭(사진) SK이노베이션 글로벌테크놀로지 총괄은 "국내 기업이 추격자(fast follower)였을 때는 기술적 노하우 보존 등을 위해 자체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였지만 지금은 자체 개발 역량의 한계와 신기술 개발의 리스크 및 타이밍 등을 고려할 때 오픈 이노베이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픈 이노베이션이란 기업이 연구개발(R&D) 과정에서 외부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김 총괄은 특히 국내 주요 산업 분야가 이미 추격형 기술 개발 형태에서 벗어나고 있어 앞으로 오픈 이노베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특정 분야에서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새로운 연구 대상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추격형보다는 선도형으로 기술 개발 전략이 바뀌고 있다"면서 "결국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면 기술 개발 형태는 선도형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학과 기초 연구기관은 기초과학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국책연구기관은 기초과학과 산업 개발의 중간 역할을 하며 기업은 실증 및 사업화 개발을 맡는 삼각 형태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총괄은 다만 "오픈 이노베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 유출 가능성과 협력 유지 비용, 기술 부담 비용, 성공시 이익 분배 등은 충분히 검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총괄은 발전적인 산학 협력을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국내 기업이 세계 선두 기업이 되면서 산학 협력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인적ㆍ재정적 자원의 한계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면서 "정책적인 측면에서 조정도 필요한데 현재 정부가 이 분야에서 리더십을 잘 발휘해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기업과 대학ㆍ연구소 간 소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김 총괄은 "대학이나 기초 연구소와의 소통, 의견 교환의 장이 폭넓게 열려야 한다"면서 "기초과학이나 기업 문화를 서로 원활히 이해하기 위해 융합적인 측면에서 많은 교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총괄은 또 국내 기초과학 분야의 경쟁력 향상 방안과 관련해 "대학이나 기초과학 연구소에 기업 경험이 있는 인재들이 많아야 하며 정부의 정책적 배려와 함께 연구에서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도록 실수와 실패를 용납하는 도전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강점을 살릴 필요가 있는 전략적인 분야에서 기초과학에 대한 역량이 없으면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면서 "SK는 그런 분야에 대한 산학연 협력과 기초연구 투자를 준비해 시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