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방학때 중기 산학연구 참여하고 등록금 번다

■ 지경부 일자리·내수 활성화안<br>이공계 대학생 실습연구원제 하반기 도입<br>대기업, 협력사 시설지원땐 동반성장 가점

이공계 대학생이 방학 때 중소ㆍ중견기업에서 일하면서 등록금 마련도 할 수 있는 실습연구원 제도가 새로 도입된다. 대기업이 협력사의 기숙사ㆍ어린이집 시설투자를 도우면 동반성장지수 평가시 가점이 부여되며 기술교육 위주의 사이버대학 설립이 추진된다.

지식경제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일자리 창출 및 내수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안을 보면 정부는 중소ㆍ중견기업이 방학 중 이공계 대학생을 산학 공동연구에 참여시키고 현장교육을 하며 인건비로 매달 150만원을 받는 제도를 하반기 중 신설한다. 이공계 대학생이 중소ㆍ중견기업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취업까지 연계해 구직자와 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결하겠다는 게 지경부 의도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를 줄여 중소기업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도 나왔다.

관련기사



정부는 대기업이 동반성장 투자재원으로 협력사 근로자의 복리후생 시설을 지원하면 동반성장 평가시 우대하기로 했다. 또 중소기업 재직자가 능력개발을 할 수 있도록 기술교육 위주의 한국산업기술사이버대학 설립을 검토할 예정이다.

구직자들이 제대로 알고 중소기업에 지원할 수 있도록 매출액ㆍ고용인원 등 기업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업체는 연구개발(R&D) 등 정부사업 지원시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업종별 단기인력 수급전망치 등을 예상하는 일자리 예보제 시스템도 올해 중 구축되며 우수 중소ㆍ중견기업 알리기 작업도 꾸준히 펼쳐진다.

아울러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업체 평가시 만점기준을 투자규모 200억원 이상에서 100억원 이상으로 완화한다. 산업단지 산업시설구역 내 업종별 입주구역 구분을 없애고 지식서비스 기업의 추가 입주도 허용할 계획이다.

정재훈 지경부 산업경제실장은 "타 부처와 협조해 일자리 창출 대책을 만들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 약 5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수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