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코웨이 매각 방향을 결정지을 법원 심문이 채권단, 웅진홀딩스, MBK파트너스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25일 열린다.
채권단이 웅진코웨이 조기 M&A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연내에 인수계약자였던 MBK로의 매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웅진그룹 회생을 위해서는 코웨이 매각 외에 별다른 묘수가 없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권과 웅진그룹에 따르면 채권단은 25일 심문에서 채권 회수를 위해 웅진코웨이 조기 매각을 재차 강조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웅진씽크빅(31.7%)과 웅진식품(47.8%) 지분 매각을 주장해 웅진측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웨이 처리가 내년 이후로 넘어가면 매각 자체가 틀어질 수도 있고 매각 가치에 대한 변동이 생길 수 있다는 게 채권단의 일관된 입장이다. 시장관계자는 "관리인 선임 문제가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코웨이 매각 이슈 만큼은 채권단이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MBK파트너스 역시 기존 계약대로 웅진코웨이 인수를 희망하고 있다. MBK측은 내년으로 매각작업이 연기되면 펀드투자자(LP)와 은행들이 대출조건을 다시 협상해야 한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MBK는 1조2,000억원 규모의 인수 자금을 자본금 출자(전환상환우선주 포함) 60%와 금융권 대출 40%로 조달할 계획이었다. 일각에서는 협상이 한번 틀어졌기에 MBK측이 매각대금을 낮출 시도를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법원은 채권단-웅진-MBK파트너스 등 3자 합의가 있다면 코웨이 매각을 웅진홀딩스 법정관리와 별개로 진행할 뜻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즉, 웅진측의 동의만 따른다면 코웨이 매각은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의미다. 법원 관계자는 "매각이든 아니든 판단 기간을 길게 갖지 않으려는 데에는 웅진이나 채권단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일단 법정관리인에 선임된 신광수 웅진홀딩스 대표는 "채권단의 뜻에 따르겠다"며 말을아끼고 있다. 그러나 법원과 채권단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웅진의 속내는 딴판이라는 게 금융권과 업계의 판단이다.
웅진 내부에서는 코웨이 매각이 내년에 성사될 경우 1,500억원 가량의 법인세 절감효과가 발생한다며 매각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심심치 않고 흘러 나오고 있다. 내년에 팔게 되면 극동건설 자산 9,000억원이 손실로 잡혀 매각차익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업계에서는 절세 목적보다는 웅진측이 유일한 캐시카우인 코웨이를 놓지 않으려 한다며 못마땅해 하는 분위기다. 웅진코웨이는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이 4,000억원에 달할 정도로 현금 창출 능력이 우수하다.
실제로 웅진홀딩스는 지난달 26일 기존 MBK파트너스와 맺은 코웨이 매각 계약은 철회하고 2014년 매각을 재추진하겠다는 내용의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한 바 있다. 구조조정 계획안은 또 웅진폴리실리콘, 웅진씽크빅, 웅진식품을 2013년에 팔겠다는 방침도 담고 있다.
웅진측의 기대와는 달리 업계에서는 내년이 됐건 내후년이건 회생계획안에 담기 위해서는 채권단과의 협의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들어 웅진측 의도대로 되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재매각을 추진하게 되면 시간도 지체될 수 밖에 없고 더 좋은 가격이 나올 가능성도 낮아 채권단이 받아들일 리가 만무하다는 게 주된 이유다.
이경록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코웨이 매각이라는 전제 없이 웅진 회생계획안이 제대로 나오기 어렵고, 패스트트랙으로 진행할 수도 없다"며 "극동건설 채무탕감 등의 문제 등을 고려했을 때 웅진이 더 이상 줄다리기를 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