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로 결빙·침수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지능형 교통체계 계획 확정 2020년 육·해·공 운행정보 이용자 중심 전환하기로

오는 2020년이면 전국 도로 노면에 도로상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돼 부분 결빙이나 침수 등과 같은 위험정보를 운전자가 미리 파악해 피할 수 있다. 또 지하철 이용 승객은 열차 도착 전 각 객차의 혼잡도를 미리 알고 혼잡이 덜한 객차를 이용할 수 있다. 국토해양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20'을 수립, 29일 확정ㆍ고시한다고 밝혔다. 지능형교통체계(ITS)는 정보ㆍ통신ㆍ제어기술을 적용해 교통체계의 안전성과 이동성, 그리고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기본계획 2020은 자동차ㆍ도로와 철도ㆍ해상ㆍ항공교통 분야의 각종 정보를 연계해 활용하는 방안이 담긴 10년 단위의 중장기 계획이다. 기본계획에 이러한 ITS 사업범위를 육상은 물론 해상ㆍ항공교통 분야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자동차·도로 부문은 교통사고와 혼잡상황 관리 중심의 시스템에서 차량 및 도로 스스로 사고와 혼잡을 예방하는 시스템으로 개선된다. 예컨대 전국의 도로 노면에 센서를 설치해 각종 도로 문제점 등의 정보를 해당 도로를 이용하려는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민간과 협력해 지능형 차량과 도로를 구현하고 실시간 교통제어 시스템과 카드 하나로 모든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One Card All Pass) 등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철도 부문에서는 기존 기관사ㆍ운영자 중심 열차제어 시스템 대신 이용자에게 운행정보 서비스를 상세히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열차 간 무선통신기반 시스템을 보다 발전시키고 열차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동시에 영상을 기반으로 한 철도안전 강화 방안이 추진된다. 승객들로 하여금 이용하려는 열차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해상 부문에서는 기지국 단위의 대형선박 관리에서 기지국 간 시스템 연계에 기반한 전 해역 및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에 따라 선박자동식별시스템 의무 장착 범위가 현재 300톤 이상 선박에서 50톤 선박으로 확대돼 규모가 작은 선박이라 하더라도 해상에서의 운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항공 부문의 경우 음성통신 중심 항공관리 시스템을 데이터 통신기반 시스템으로 개선하고 한중일 3국에서 호환이 가능한 통신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무인 출입국 자동화 시스템도 확대 보급된다. 국토부는 각 부문의 시스템 개선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도로ㆍ철도ㆍ해상ㆍ항공교통의 실시간 정보를 통합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마스터플랜을 세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