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버티는 백화점에 칼 빼든 공정위

판매수수료 인하 문제를 놓고 백화점업계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결국 칼을 빼 들었다. 11일 공정위와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10일 루이뷔통, 샤넬, 구찌, 카르티에, 아모레퍼시픽, 제일모직, LG패션, MCM 등 8개 업체에 조사관을 파견해 백화점과의 거래 실태 를 집중 조사했다. 공정위 조사관들은 해당 업체 유관부서의 컴퓨터 파일과 관련 서류 등 관련자료를 제출 받고 담당자들에 대한 대면조사도 벌였다. 공정위측은 특히 입점업체와 백화점 간의 판매수수료와 인테리어 비용 분담 등과 관련한 내용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일모직의 한 관계자는 “조사관들이 백화점 판매수수료 관련해서 불공정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담당자를 불러 대면 조사하고 관련 서류들을 챙겨서 돌아갔다”면서 “공정위 조사에 최대한 응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공정위측도 “백화점에 입점해있는 국내외 유명브랜드에 대해 조사에 착수한 것은 사실”이라며 “백화점과 국내외 유명브랜드간 거래실태 전반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고 인정했다. 공정위는 8개 국내외 유명 브랜드와 백화점간의 거래실태를 집중 살펴본 뒤 다른 입점 브랜드 업체까지 조사를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또 중소입점업체들에 대한 심층조사도 실시해 백화점과의 거래관계에서 불공정 사례를 집중적으로 파악할 방침이다. 백화점업계는 공정위 실태조사가 예견된 일이었던 만큼 놀랍지 않다는 반응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가 중소업체와 명품업체의 계약조건을 비교하기 위해 이달중 국내외 명품 브랜드의 백화점 납품실태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힌 상태였기 때문에 공정위 국정감사가 끝나면 조사를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공정위가 백화점을 조이기 위해 순차적으로 단계를 밝기 시작한 것인데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