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경제위기 승자는 한국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 폴란드 등 7개국 꼽아

한국이 2008년 이후 세계를 강타한 글로벌 경제위기를 기회로 가장 잘 활용한 국가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10일(현지시간) '누가 경기 침체에서 승리했는가'라는 제목의 11월호 커버스토리에서 한국을 포함한 7개 국가를 소개했다.


FP는 중국과 인도의 부상은 진부한 표현이 된 지 오래고 경제위기 국면에서 잘해낸 국가도 거의 없지만 떠오르는 국가(emerging powerhouse)인 한국과 폴란드ㆍ캐나다ㆍ스웨덴ㆍ인도네시아ㆍ터키ㆍ멕시코 7개국은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켰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특히 한국은 정부 연구개발(R&D) 지출을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3.4%에서 5%로 높인 결과 대기업인 삼성ㆍ기아ㆍ현대 등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로써 한국은 선진국으로는 처음으로 2009년 침체에서 벗어났으며 가계 소득도 11분기 연속 증가했다고 FP는 소개했다.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지난 9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투자적격 지위를 확고하게 했다.

또 폴란드의 경우 유럽 재정위기를 호재로 삼아 2008~2011년 4년간 15.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캐나다는 정부 지출을 줄여 재정적자를 감축해놓았다가 침체가 닥쳤을 때 유동성을 확대하는 등 경기 진작책을 쓸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경일이던 7월1일 평균 소득이 미국을 처음 추월했다고 선언했다.

스웨덴도 1992년 금융위기로 부동산 거품이 꺼질 당시 침체에 대비한 것이 주효했고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매년 4.5%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주요20개국(G20)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성장률이 높았다.

또 터키는 지난 10년간 유럽의 금융 위기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된 덕분에 GDP와 1인당 국민소득을 거의 세 배로 늘릴 수 있었으며 멕시코는 마약과의 전쟁 등 불안한 정국 탓에 주목을 덜 받고는 있지만 경제는 계속 붐을 일으키고 있다고 FP는 분석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