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증시와 부동산가격 하락이 추가적인 소비위축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다만 자산가격 하락에 따른 소비위축은 단기간에 그쳐 1년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사실상 소비둔화 효과의 상당 부분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일 ‘자산가격 변동과 민간소비’라는 현안분석 보고서를 통해 “자산가격 변동은 가계의 부(wealth)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소비자의 미래소득에 대한 판단을 반영함으로써 소비와 연관된다”며 “15% 내외의 주가하락 또는 2.5% 내외의 주택가격 하락은 해당 분기의 민간소비를 0.4% 내외로 각각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민간소비는 주식보다 주택가격 변동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면서 “다만 가격변동폭을 감안하면 주식과 주택가격이 소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서 주식가격 1% 하락은 민간소비를 단기적으로 0.027% 떨어뜨리고 주택가격 1% 하락은 소비를 0.184% 떨어뜨리지만 주가 변동성이 주택가격보다 6~7배 크기 때문에 실제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해진다는 것이다.
아울러 주가하락은 내구재ㆍ준내구재 등 내구소비에, 부동산가격 하락은 비내구재ㆍ서비스 등 비내구소비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다만 이 같은 소비 변동은 자산가격과 무관한 소비심리 변화 등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자산가격 변동 효과도 단기간에 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KDI는 강조했다. 보고서는 “궁극적으로는 소득 흐름이 소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며 “자산가격 하락이 회복되지 않아도 소비둔화 효과는 점차 축소돼 1년 정도 지나면 3분의2 이상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