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베노믹스 1년] '아베 트레이드 2막' 기다리는 시장

엔저·주가 주춤에 추가 금융완화 압력 고조<br>내년 1~2월 춘투·법인세율 인하 등도 변수

올 하반기 들어 엔저와 주가 강세가 주춤해진 가운데 금융시장에서는 '아베 트레이드 2막'을 열어줄 새로운 호재에 대한 갈증이 커지고 있다.


우선 주목되는 것은 내년 초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 여부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출구전략 지연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조치로 일본은행에 대한 추가완화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에서는 2년 내 물가상승률 2% 달성을 목표로 내걸고 있는 일본은행이 미국ㆍ유럽의 경기회복세 둔화와 소비세율 인상이라는 악재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조치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도쿄 소재 크레디스위스그룹의 시라카와 히로미치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행이 내년 1월께 추가부양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내년 1~2월에 열리는 노동조합과 재계의 임금협상, 일명 춘투(春鬪)도 주목되는 변수다. 소비 확대와 디플레이션 타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임금 상승이 본격화할 경우 아베노믹스 성공에 대한 기대가 되살아나면서 시장은 물론 실물경제도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다. 아베 정권의 임금 인상 독려에 힘입어 일본 최대 노조단체인 렌고가 내년 춘투에서 기본급 1% 인상을 요구할 방침으로 알려진 가운데 7일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사장이 기업 수익이 오르면 임금을 올리는 것이 합당하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임금 인상에 대한 기대감은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태다. 다만 엔저효과를 제외하면 본격적인 기업의 판매 회복과 실적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정부의 '팔 비틀기'로 인한 무리한 임금 인상이 자칫 고용 위축이라는 장기적인 부작용을 낳는 데 대한 우려도 제기되는 실정이다. 재계단체인 게이단롄의 추산에 따르면 2011년 말 현재 일본 산업계의 잉여인력은 465만명에 달한다.

이 밖에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의 주축이 되는 법인세율 인하 논의는 장기적으로 시장의 최대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하 속도와 폭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부메랑이 돼 시장을 강타할 수도 있다. 오가와 마키 씨티뱅크 애널리스트는 "법인세율 인하가 소폭씩 점진적으로 이뤄질 경우 경기부양효과는 희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