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포커스] "총체적 재팬 리스크에 앞날 불안"…日부자들 자산 '엑소더스'

엔고·정치혼란·재정난 부각따라 주식 등 보유 자산 팔아 현금화<br>계좌 해외이전·부동산 매입 바람 산업 이어 자산 공동화 가시화


일본에서 상장사를 경영하는 40대 중견기업인 A씨는 지난 3월11일의 대지진 이후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를 대거 처분했다. 적지 않은 자산을 현금화한 그는 이후 해외 자산을 사들이고 있다. 난생 처음 겪은 대지진과 원전사고, 수십 년 째 이어지는 저성장고 엔고, 종잡을 수 없이 오락가락하는 정부 정책은 일본에 전 재산을 묶어 두는 것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때마침 엔화가치가 달러당 70엔대까지 치솟으며 해외 자산을 매입하기에 유리한 여건이 형성되자 그는 망설임 없이 국내 자산에서 해외 자산으로 갈아타기 시작했다. 안전을 찾아 외국으로 옮겨둔 것은 자산뿐이 아니다. 후쿠시마(福島) 제1 원전사고로 방사능 공포가 지속되면서 그를 제외한 가족들은 모두 싱가포르로 터전을 옮긴 상태다. 일본의 앞날에 대한 불안감 속에 일본에서 부자들의 '엑소더스'가 시작됐다. 일본의 경제 주간지인 다이아몬드는 지진과 방사능의 공포, 정체된 경제와 국정 혼란, 재정난, 그로 인한 국력 저하 등 총체적인'재팬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수십억 자산을 보유한 부유층들의 '일본탈출'이 가시화하고 있다고 최신호에서 보도했다. 사상 초유의 엔고를 견디다 못한 기업들이 일본 본토를 등지는 '산업 공동화'가 진행되는 한편으로, 일본이 직면한 온갖 리스크를 피해 거액의 국내자산이 해외로 유출되는 '자산 공동화'가 진행되기 시작됐다는 것이다. 실제 일본 금융회사들의 프라이빗뱅킹(PB) 창구에는 해외 계좌개설이나 자산 매입에 대한 문의가 끊이지 않고 않고 있다고 다이아몬드지는 전했다. 한 대형 신탁회사 관계자는 "지진 이후 현금을 스위스 등 외국 계좌로 옮기겠다는 요청이 줄을 이었다"며 "수억엔 규모로 자산을 이전한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도호쿠(東北) 지역에서 병원을 경영하는 한 40대 자산가의 경우 약 10억엔(154억원 상당)에 달하는 보유 자산 가운데 엔화 자산은 30%에 불과하다. 달러와 유로화 표시가 각각 30%, 신흥국 자산이 10%에 달한다. 실제 일본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일본 국민들의 금융자산 가운데 지난 4분기 연속 자금이 순유입된 부문은 해외 주식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도 사장은 비슷하다. 신탁업계에 따르면 도쿄 내에서 매입할 토지를 물색하던 '큰 손' 고객이 대지진 이후 갑자기 매입 희망지역을 하와이로 바꾸는 등 부유층 고객들이 국내에서 해외 시장으로 빠르게 눈길을 돌리고 있다. 이렇게 외국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40대 안팎의 비교적 젊은 자산가들에 국한된 얘기는 아니다. 부유층비즈니스연구회를 주관하는 후나이종합연구소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해외로의 자산 이전이 금융에 대한 전문지식이 높은 부유층 중심으로 이뤄졌지만, 지금은 보수적인 고령의 부유층까지도 자산의 해외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경우 통상 부동산을 제외한 순금융자산 1억엔(15억4,000만원 상당) 이상의 자산가를 일컫는 부유층 가운데 고령층이 상당수에 달한다. 미국의 컨설팅업체인 캡제미니의 2011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부유층 가운데 만 31세 미만 청년 자산가는 세계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 수준인 반면, 66세 이상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47%에 달해 세게평균 29%를 크게 웃돈다. 56세 이상은 80%에 달한다. 웬만한 일에는 꿈쩍도 하지 않는 이들 보수적인 고령 부유층의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경우 일본에서 어마어마한 규모의 개인자산이 빠져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보수적인 고령층까지 움직이게 만드는 '재팬 리스크'는 다각도에서 일본 부자들의 불안심리를 들쑤시고 있다. 초유의 엔고로 인한 기업 경쟁력 약화와 산업 공동화에 대한 우려, 대지진과 원전 사고로 인한 신체적 안전 리스크,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한 증세 가능성, 장기적으로 재정이 파탄나면서 국채가 폭락하고 엔화가 급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우려, 정부의 리더십 부재와 정국 혼란 등이 모두 부유층이 일본에서 등을 돌리게 만드는 요인이다. 여기에 대지진 이후 지속되는 초유의 엔고(円高) 현상은 해외자산 매입을 더욱 부추기며 자산 공동화를 초래하고 있다. 국가에 신뢰가 떨어진 상태에서 엔고로 해외 자산을 저렴하게 매입할 기회가 마련되자 기존에 보유했던 국내 주식이나 부동산에서 해외 자산으로의 갈아타기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는 것이 금융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일본의 한 대형 증권사 지점장은 "엔고로 인한 산업 공동화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은데 그와 동시에 진행되는 '국민자산 공동화'야 말로 중요한 이슈"알고 지적했다. 일부 부자들 사이에서는 아예 자산뿐 아니라 가족들이 외국으로 거주지를 옮기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기업가 비중이 높은 부유층 사이에서는 회사의 해외진출 등을 이유로 외국에서 생활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해외 이주에 대한 거부감이 덜한 것도 한몫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이유는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에 대한 공포다. 다이아몬드지는 "과거에도 세금을 피하기 위해 해외로 자산을 빼돌리는 경우는 있었지만, 대지진을 기점으로는 부자들이 일본에 불안감을 느껴 본격적으로 자산을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재팬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부유층을 충심으로 시작된 자산 유출이 인적 유출로까지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