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펀드 상품 보수율 하향 추세

외국계 보수율 여전히 높아

수수료를 낮춘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면서 펀드의 보수율이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국계 운용사들의 보수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31일 자산운용협회가 국내 42개 자산운용사들의 6월 말 현재 주식형 펀드 보수율을 집계한 결과 평균 1.62%로 3월 말의 1.67%에 비해 소폭 낮아졌다. 평균 보수율 하향 추세는 혼합형과 채권형에서도 나타나 혼합형의 경우 3월 말 0.82%였던 평균 보수율이 6월 말 0.73%로 하락했고, 채권형도 0.44%에서 0.34%로 낮아졌다. 이처럼 펀드의 수수료가 하락한 것은 최근 수수료 체계를 다양화한 멀티클래스 펀드와 수수료 부담을 줄인 온라인 전용 펀드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최근까지 설정된 멀티클래스 펀드는 총 99개이며 이 가운데 25개가 지난 3월 이후에 설정됐다. 보수율을 큰 폭으로 낮춘 온라인 전용 펀드도 인덱스형을 중심으로 최근 8개나 출시됐으며 최근에는 업계 최저(0.544%) 보수율의 주식형 온라인 펀드도 나왔다. 주식형의 경우 조사 대상 42개 운용사(변동 폭이 큰 칸서스 제외) 중 21개의 보수율이 하향 조정된 반면, 19개는 소폭 올랐고 2개 운용사의 보수율은 전 분기와 변동이 없었다. 운용사별로는 골든브릿지운용이 0.71%포인트(1.04%→1.75%)로 보수율 상승 폭이가장 컸고, 산은자산운용이 0.48%포인트(0.39%→0.87%)로 그 뒤를 이었다. 보수율 하락 폭이 컸던 운용사는 피닉스자산운용으로 1.99%포인트(2.61%→0.62%)에 달했고, 미래에셋맵스운용의 보수율도 0.67%포인트(1.98%→1.31%)나 하락했다. 평균 보수율이 가장 높은 운용사는 랜드마크(2.49%)였고, 피델리티(2.45%), 프랭클린템플턴(2.36%) 등 외국계가 주류를 이뤘다. 토종 운용사 중에서는 CJ자산운용이 2.41%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서울자산운용(0.35%), 교보투신운용(0.36%), 피닉스자산운용(0.62%) 등은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혼합형의 경우 산은자산운용의 보수율이 2.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산은자산운용을 제외하면 슈로더투신(1.84%), 프랭클린템플턴(1.38%), 피델리티(1.32%) 등 주로 외국계들의 보수율이 높은 편이었다. 채권형 역시 피델리티(1.18%), 프랭클린템플턴(0.91%) 등 외국계 운용사들의 보수율이 평균치의 2∼3배 수준으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