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경 네트워크] 상신브레이크

■ 대구·경북<br>국내 시장 점유율 50% 차지, 월드클래스 300기업 '명함'

김효일 대표

대구 달성산업단지에 위치한 국내 최대 자동차 브레이크 생산기업인 상신브레이크 전경

대구 달성산업단지에 위치한 국내 최대 자동차 브레이크 생산기업인 상신브레이크가 노사화합과 '월드클래스300' 선정의 여세를 몰아 세계 5위권 브레이크시스템 기업에 도전한다. 상신브레이크는 국내 시장점유율이 50%에 달한다. 상신브레이크는 최근 정부가 선정한 월드클래스300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월드클래스300은 성장동력을 갖춘 중소기업에 컨설팅과 시장확대, 인력확보, 자금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국가 프로젝트. 지식경제부는 올 상반기 상신브레이크를 포함해 30개 기업을 선정했다. 김효일 상신브레이크 대표는 "브레이크 마찰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하는 등 한 우물을 팠던 것이 이 같은 성과로 이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상신은 40년간 브레이크 마찰재만을 고집해 온 자동차부품기업이다. 상신에서 생산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동차 외에도 기차, 항공, 선박, 풍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상신의 세탁기 브레이크 '앗세이'는 삼성ㆍLG 전자 등에 납품되고 있다. 상신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매년 매출 대비 4%대의 지속적인 R&D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 같은 기술력 확충 덕분에 성장세가 이어져 지난해의 경우 매출 1,928억원을 달성, 2,000억 돌파를 앞두고 있다. 수출 역시 2006년 이래로 연평균 45% 증가해 지난해 522억원을 기록했다. 상신은 한국자동차산업의 글로벌화에 맞춰 해외시장 개척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중국 및 인도에 현지공장을 설립하고, 전 세계 수출시장 다변화 및 글로벌 경영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또 2015년 미국시장 매출 360억원을 목표로 북미형 일본차 브레이크 개발 및 프리미엄 브랜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동시장 확대 전략에 따른 물류거점 확보를 위해 이달 중 두바이 지사를 설립하며 유럽시장 판매증진을 위한 교두보 확보를 위해 러시아에 조인트 벤처공장도 설립할 예정이다. 이처럼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신이지만 그 동안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가장 큰 아킬레스건은 노사갈등. 지금은 노사화합 분위기가 조성됐지만 상신은 지난 13년간 노조가 연평균 28일간 파업을 해온 지역의 대표적인 '강성노조' 사업장이었다. 지난해에도 노조는 노조전임자 문제(타임오프제)와 생산공장 증설 등을 둘러싸고 파업에 들어갔고, 사측은 회사 설립 35년 만에 첫 직장폐쇄에 돌입하는 등 첨예한 노사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직장폐쇄 철회와 노조 집행부 총사퇴 이후 '금속노조 탈퇴 및 노사상생'을 공약으로 내건 새로운 노조위원장이 선출되고 이어 조합원 임시총회에서 금속노조를 탈퇴하는 '조직형태 변경안'이 통과되면서 노사 화해 무드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지난 4월 이 회사에서는 과거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일이 일어났다. 직원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노사가 '노사협력 선포식'을 개최한 것. 당시 상신브레이크 노사는 그 동안 관행으로 굳어졌던 대립적 노사관계를 끝내고 생산적이고 건강한 노사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노사협력 선언문'을 채택했다. 협력선언을 통해 노조는 기업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작업장 혁신 활동에 적극 나서기로 다짐했다. 회사는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노사는 대화와 협력을 통해 상호 신뢰를 구축하고 상생의 파트너십을 지향하며 기업의 이익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데도 적극 노력하기로 결의했다. 회사는 노사화합 행사 이후 현장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작업 라인에 에어컨 및 포네이터 시스템(환기시설) 등을 설치했다. 또 직원들의 복리향상을 위해 샤워장 및 탈의실을 최신 시설로 정비하고 있다. 김 대표는 "품질안정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 브레이크 기술의 다변화에 따라 풍력 브레이크 등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오는 2020년 세계 5위권 브레이크 시스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