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액결제 비중이 절반이상 차지 카드사 경영 큰타격

자금조달 비용등 감안땐 최소 5만원 넘어야 수익

카드사들이 할인점 등 가맹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소액결제로 수익에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조달비용과 매출 처리비용 등을 감안할 때 결제금액이 최소 5만원이 넘어야 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소액결제가 전체 결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1일 비씨카드가 지난 7월 동안 발생한 5,324만건의 결제건수를 분석한 결과 5만원 미만의 소액결제가 3,489만건에 달해 전체 결제건수의 65.5%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KB카드와 삼성카드 등 다른 카드사들도 5만원 미만의 소액결제 비중이 60% 내외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소액결제 건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수수료 분쟁을 빚고 있는 이마트 등 할인점이 13.6%로 가장 많았다. 이는 할인점이 저가의 물품을 판매하는 업종인데다 이용고객들이 주로 서민층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일반 한식집 13.3% ▦주유소 12.7% ▦슈퍼마켓 6.0% ▦잡화 판매점 4.1% 등이 뒤를 이었다. 비씨카드는 이와 관련, “할인점과 패스트푸드점 등의 급격한 증가로 소액결제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수익구조가 악화돼 가맹점 수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비씨카드는 “수수료 분쟁을 빚고 있는 할인점 업계 1위 이마트에서만도 지난해 한해 동안 소액결제와 낮은 가맹점 수수료로 250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말했다. 카드사들은 이와 관련, ▦자금조달비용 0.61%(조달금리 연 7.3% 기준) ▦밴(VANㆍ카드승인 대행업체)사 수수료 등 매출ㆍ청구 처리비용 1.05% ▦부가서비스 제공 등 서비스 비용 0.64% 등 인위적으로 조정하기 힘든 결제건당 고정비용이 2.3%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