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매경 경제채널 승인땐 특혜시비 불보듯

종편 선정땐 MBN 폐업 한다더니… 간판 바꿔 변칙운영 시도<br>업 계"法허점 이용한 꼼수"… 비난 목소리 커져


종합편성채널사업자인 매일방송(매일경제신문 자회사)이 당초 올해 말 보도채널(MBN)을 폐업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경제정보채널로 간판만 바꿔 채널을 계속 유지하려는 변칙운영을 시도하면서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사업승인권자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를 묵인할 경우 특정 매체에 대한 특혜 시비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경제TV를 비롯해 머니투데이방송(MTN)ㆍ한국경제TVㆍ이데일리TV 등 경제정보채널 4개사는 9일 공동명의의 입장 발표를 통해 "매일방송에 대한 경제채널 허용은 명백한 특혜"라며 결코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4사는 "보도채널 반납을 전제로 종편 사업권을 따낸 사업자가 보도채널 종영 시점을 연장받고 나서 채널 번호와 이름만 바꿔 경제정보채널로 운영하겠다는 것은 정부를 농락하는 처사"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매일방송은 보도채널 종영, 종편 개국과 동시에 경제정보채널을 개국하겠다고 최근 방통위에 채널등록신청서를 제출했다"면서 "이는 일반 프로그램공급자의 경우 등록제로 돼 있는 법의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한 '꼼수'이며 종편사업자 선정 당시 보도채널을 반납하게 했던 정책 취지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태"라고 비난했다. 4사는 기존 경제정보채널 사업자들이 채널을 매입하거나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 오랜 기간에 걸쳐 수백억원씩 투자한 점을 강조하며 "이런 상황에서 매일방송이 보도채널의 번호와 프로그램만 바꿔 경제채널로 운영하는 것은 명백한 무임승차이며 정부가 이를 허용하는 것은 수백억원의 특혜를 주는 셈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이들 4개사는 지난 4일 매일방송의 경제정보채널 등록을 반대하는 내용의 정책건의서를 방통위에 제출했다. 연합뉴스TV와 YTN도 지난달 25일과 27일 잇따라 방통위에 정책건의서를 내고 매일방송의 유사 보도채널 운영 가능성을 우려하며 방통위에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시장질서를 바로 세워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방통위 규정상 종편과 보도채널은 중복으로 소유할 수 없다. 매일방송은 종편을 위해 당초 9월 말로 못 박았던 보도채널 폐업 시기를 오는 12월31일로 연장받아 이것부터 방통위의 특혜라는 비난이 끊이지 않았다. 케이블방송업계의 한 관계자는 "매일경제가 종편사업자 선정 때 보도채널 폐업 시기를 늦추고 종편과 동시에 새 경제정보채널을 개국하겠다고 했다면 과연 종편사업자로 선정될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도 "방통위가 한 매체에 집중 특혜를 준다면 공정경쟁을 통해 선진 방송시장으로 재편한다는 정책 기조를 스스로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기업 관계자는 "신문과 종편, 여기에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경제채널까지 허용할 경우 기업들에 부당한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