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신임 금감위원장에 거는 기대

이철균 기자 <증권부> fusioncj@sed.co.kr

“오랜만에 그릇에 맞는 인물이 온 것 같습니다.” 윤증현 신임 금융감독위원회장 겸 금융감독원장의 정부요직 복귀에 대해 금융감독기구 구성원들은 일단 기대 섞인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재정경제원 과장 때부터 장관감으로 꼽혔던 인물 중 하나였다”며 그의 탁월한 능력을 강조한다. 이런 평가가 아니더라도 금융통인 윤 위원장에 대한 기대는 높다. 무엇보다도 금융감독기구를 다시 개편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지난 97년 현재의 금융감독체계를 태동시킨 그가 금융감독기구 수장의 자리를 맡았기 때문이다. 아시아개발은행 이사로 재직하면서 금융에 대한 국제적인 감각도 익혔으니 97년 때보다 더 나은 개편안을 만들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심지어 “선이 굵고 결단력과 추진력을 갖춘 만큼 현재의 지지부진한 감독기구 개편 속도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올 정도다. 그렇다고 신임 위원장의 앞길이 순탄하기만 한 것 같지는 않다. 금융감독기구 개편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해온 금감원 노조는 2일 신임 위원장에 대한 반대투쟁은 일단 유보하면서도 “환란 책임자의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노조측은 이와 함께 금융감독기구 개편 과정에 따라서는 파업 가능성까지 언급, 기구 개편이 윤 위원장의 뜻대로 풀려갈지는 미지수다. 윤 위원장은 취임식 전날 밤부터 금감위ㆍ금감원 고위관료를 서울시내 한 호텔로 불러 업무보고를 받는 등 강한 의욕을 보였다. 하지만 이 같은 행보 때문에 또 다른 걱정이 앞선다는 평가도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추진력이 있다는 것은 갈등을 더 확대시킬 수 있는 측면도 있다”며 우려했다. 윤 위원장은 이정재 전임 위원장의 돌발적인 퇴임까지 떠안아야 한다. 어깨가 더 무거울 수밖에 없다. 세간의 기대대로 윤 위원장이 갈등을 봉합하고 현실에 가장 잘 맞는 대안을 찾아내 ‘화려한 복귀’를 선언하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