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역사왜곡 ‘고구려 요동국설’

최근 국사학계에서 고구려의 요동국설(遼東國說)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이 설을 주장하고 나선 사람은 김한규 서강대 교수. 그는 신저 `요동사`를 통해 `고구려가 한국도 아니고 중국도 아닌 요동국이었다`는 요지의 이른바 요동공동체론을 주장하고 나서 파문을 일으킨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이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로 왜곡하는 것도 모자라 아예 중국의 변방사로 탈취해가려는 판에 느닷없이 이 무슨 해괴한 주장인가. 물론 학자가 자신의 소신에 따라 학문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에 속하고, 따라서 존중받는 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자유에는 의무가 따르듯이 학문의 자유라고 무제한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어용 사학자들이 조작한 식민사관과 그 어용 사학자들로부터 왜곡된 역사를 배우고 이를 `실증주의 사학`이라는 그럴듯한 포장으로 감춘 이병도 같은 사학자들이 무슨 까닭에 아직도 비난받고 있는지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또 중국의 역사탈취 기도와 일본의 거듭되는 역사왜곡 망언에 대해 감정적 대응보다는 냉철한 논리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일부의 주장도 맞는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타당성이 결여된 이상한 방향으로 논리를 전개하고 주장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도 있을 뿐 아니라, 자칫 잘못하다가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을 거들어주고 나아가 힘을 보태주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김 교수가 주장하고 나선 고구려의 이른바 요동국설의 요지는 대충 이렇다. 첫째, 고구려는 종족이 맥족(貊族) 중심으로 한족(韓族)과는 다르다. 둘째, 고구려는 평양천도 이전까지는 퉁구스계통의 독자적 언어를 사용했다. 셋째, 고구려는 평양천도 이전까지는 삼한ㆍ백제ㆍ신라와 동류의식이 없었다. 넷째, 고구려만이 아니라 고조선ㆍ부여ㆍ발해ㆍ요ㆍ금ㆍ원ㆍ청은 한국도 아니고 중국도 아닌 요동국이라는 것이다. 이런 학설과 주장은 참으로 위험한 발상이다. 결국 만주에 있던 모든 나라의 역사는 한국사도 아니고 중국사도 아니라는 뜻인데,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중국측 억지주장대로 오늘의 중국영토인 만주에 있던 나라는 모두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는 생떼와 상통하기 때문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일본까지 여기에 끼어들어 만주에 관한 연고권을 주장하고 나설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본이 침략주의ㆍ제국주의 시절인 지난 32년에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운 사실을 상기하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김 교수의 이런 주장에 대해 다른 사학자들은 다음의 논리로 대응하고 있다. 첫째, 종족문제는 고대에는 다종족국가가 많았으므로 고구려가 맥족 중심이라고 해서 한족이 아니라는 설은 옳지 않다. 둘째, 언어문제는 고구려ㆍ신라ㆍ백제가 모두 알타이어족으로 사료에 따르면 고구려와 백제ㆍ신라인간의 의사소통에 아무 문제도 없었다. 예를 들면 신라의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를 빌리러 갔을 때 보장왕(寶藏王)ㆍ연개소문(淵蓋蘇文)과 통역을 두고 대화했다는 이야기는 없다. 또 삼국이 서로 사신을 보낼 때 통역을 대동했다는 증거도 전혀 없으니 언어가 달랐다는 것은 단순한 추측에 불과하다. 셋째, 동류의식 문제도 한 가지 예를 들어 소개하겠다. 백제가 개로왕(蓋鹵王) 18년(472) 북위에 보낸 국서에는 `저의 나라는 고구려와 함께 조상이 부여에서 나왔으므로 선조들의 시대에는 옛정을 도탑게 하여 지냈더니…` 하는 대목이 있다. 넷째, 요동공동체론에 대해서는 요동은 고구려의 변경이면서 중국의 변경이기도 했으므로 독자적 국가단위 개념으로 볼 수 없고, 이러한 학설은 일제(日帝)의 식민사관의 하나였던 이른바 만선사관(滿鮮史觀)처럼 위험한 발상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요동국`이라는 용어부터 해괴한 것이다. 물론 요동국이란 요동에 있었던 나라, 요동을 차지하고 있던 나라라는 뜻은 알겠지만, 요동 자체가 하나의 역사단위로 존재한 적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이 설을 그대로 인정한다면 고구려가 장수왕(長壽王) 15년(427)에 평양성으로 천도하기 이전의 역사는 요동의 역사요, 한국사도 중국사도 아니라는 괴상한 논리가 되는 셈이다. 아니 괴상한 것에서 그치지 않고 요동을 포함해 만주에 있던 나라는 모두 중국사의 일부라는 중국측 주장에 동조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 학문의 자유도 좋고 학자적 양심과 소신도 중하지만, 엉뚱한 학설과 이론이 순수해야 마땅할 민족사를 오염ㆍ훼손시키거나 중국과 일본에 왜곡의 빌미를 주는 어리석음을 범해서야 되겠는가. <황원갑 (소설가ㆍ한국풍류사연구회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