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말레이시아·싱가포르도 예금 지급보장

뱅크런 막기위해 홍콩처럼 2010년까지<br>금융위기 실물경제 확산 차단 선제 조치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홍콩에 이어 모든 은행 예금에 대한 지급 보장을 선언했다. 두 나라의 이번 조치는 대량 예금 인출사태(뱅크런)를 막기 위한 것으로 홍콩과 마찬가지로 오는 2010년까지 계속된다.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싱가포르 정부는 전날 외환이든, 국내 통화든 가리지 않고 모든 은행 예금의 지급 보증을 위해 1,500억싱가포르달러(1,016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싱가포르 재무부와 통화당국은 공동 성명에서 “정부가 모든 예금의 지급을 보장하기로 했다”면서 “이는 은행들의 예금 이탈을 막기 위한 예방 조치”라고 설명했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도 이날 모든 링깃화 예금과 외화 예금을 지급 보증한다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이번 조치는 선제적이고 예방적인 조치”라며 “말레이시아 은행들은 충분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재무 건전성은 견고하며 예금자들의 신뢰도 문제가 없다”고 부연했다. 홍콩ㆍ호주ㆍ뉴질랜드 등도 지난주 글로벌 신용위기를 차단하기 위해 모든 예금에 대한 지급 보증을 실시한다고 밝혔었다. 인도네시아도 지난 월요일 정부가 지급을 보장하는 예금규모를 상향 조정했다. 선진국들에 이어 아시아와 중동ㆍ오세아니아 등 각국 정부가 예금 지급보장을 선언하고 나선 것은 금융 부문의 위기를 조기에 차단해 더 이상 실물 부문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겠다는 선제적인 정책 의지로 풀이된다. 금융 부문의 불안감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잘못하다간 실물경제마저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주변국들의 이 같은 선택이 세계적인 경기 하강 기조 속에서 얼마나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나 최소한 인접국가로의 자금 이탈을 막는 직접적인 효과는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자에서 주변국들의 예금 지급 보장 확산은 아직까지 그 같은 정책을 취하지 않고 있는 다른 국가들을 압박해 이들 나라로 하여금 비슷한 조치를 취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일랜드가 이달 초 선도적인 예금보장책을 제시하자 독일ㆍ호주ㆍ아랍에미리트(UAE) 등이 이를 따라 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또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지난주 미국과 유럽 7개국이 공조해 기준금리를 동반 인하했을 때 몇몇 아시아 국가들이 이를 뒤따랐다는 점도 거론된다. 씨티그룹 싱가포르지사의 모숑 심 애널리스트는 “아시아 지역에서 호주ㆍ홍콩 등 몇몇 정부의 선도적인 예금 보장 대책은 자금이 역내 다른 국가로 빠져나가길 바라지 않는 인접국들을 자극하게 될 것”이라며 “인접국들도 비슷한 보장책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