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親李, 세종시등 현안 돌파 힘얻나

친박계 김무성의원 與 원내대표 경선 출마 선언<br>"당선땐 국민에게 화합하는 모습 보일것"<br>친박계 강경파들 "분열 노린 속셈" 비난

친박근혜(친박)계인 김무성(오른쪽) 한나라당 의원이 26일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공식선언했다. 김 의원이 정책위의장 출마를 선언한 고흥길(왼쪽) 한나라당 의원과 함께 출마의 변을 밝힌 뒤 활짝 웃고 있다. 고영권기자

김무성 한나라당 의원(4선ㆍ부산 남구을)이 26일 화합과 정권 재창출을 기치로 걸고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친이명박(친이)계 일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조율에 힘입은 결정이다. 김 의원이 원내대표 경선에서 승리할 경우 친이계 측은 세종시 수정안 추진에 돌파구를 마련할 수도 있지만 친박근혜(친박) 쪽은 친이 주도의 국정운영에 계속 끌려가는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로 지명한 고흥길 의원과 함께 회견에 나선 김 의원은 "당내 화합이야말로 국민의 신뢰회복과 정권 재창출의 가장 큰 기반"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경선은 오는 5월4일이다. 그는 "분명한 것은 (친이ㆍ친박계가) 같이 잡은 정권이라는 것"이라면서 "그동안 (당이 한) 제일 큰 잘못은 주류ㆍ비주류의 경계를 강하게 구분한 것이며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은 중간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이면서도 원내대표 출마, 세종시 수정안 추진에서 친이계와 공감해온 스스로의 처지를 가리킨 것처럼 보인다. 친이 쪽은 그가 '친박 좌장' 이름표는 뗐지만 '화합 카드'로서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세종시 대안을 주장했던 김 의원이 하반기 국정운영에 힘이 될 것으로 여긴다. 친이계의 한 핵심의원은 "정치는 현실의 영역이 아닌 인식의 영역"이라면서 "김 의원이 원내대표가 되면 국민들이 볼 때 화합하는 모습으로 보지 않겠느냐"며 출마를 지지했다. 또한 '추대는 원칙에 맞지 않다'며 한 차례 김 의원의 원내대표 출마를 막았던 박근혜 전 당 대표가 이번에 다시 반대한다면 정치 지도자로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부담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를 비롯, 친박계 강경파 의원들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독배를 들겠다'는 김 의원의 명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친이계가 '이이제이(以夷制夷)' 전략을 구사한다고 생각한다. 박 전 대표는 기자들의 질문에 "몰라요"라며 차갑게 대응했고 친박 강경파 의원들은 "친이계가 김 의원을 이용해 친박계를 갈라놓으려는 속셈"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이번 출마를 계기로 박 전 대표와 김 의원이 완전히 갈라섰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들은 당장 6월 이후 세종시 수정안이 다시 힘을 받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김 의원은 "사전에 박 전 대표에게 출마의사를 말씀 드리지 못했다"면서 "반대하지 않으시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가 출마 회견문에서 "이명박 정부가 실패한다면 한나라당의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겠나"라고 언급한 점은 박 전 대표를 향한 서운함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결국은 박 전 대표에게 돌아갈 것임을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김 의원이 친이계 일부의 '사실상 추대' 형식으로 원내대표 직에 도전하면서 이병석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들은 출마를 거두는 분위기다. 중립인 이주영 의원은 출마 포기 의사를 밝혔고 정의화 의원은 국회 부의장직으로 관심을 돌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