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社는 휴가조정, 勞는 임금보전"

임단협 노사협상 최우선과제 조사결과

올해 임·단협과 관련해 사측은 '휴가 조정'을, 노측은 '임금 보전'을 각각 우선 순위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올 임.단협 주요 쟁점과 과제 토론회'에서 연구원 김승택 연구위원은 최근 기업 인사.노무관리자 1천515명과 노조대표8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사협상에서 반드시 관철시킬 항목 1순위로 관리자는 `연월차 휴가 조정'(41.3%), 노조대표는 `임금 보전'(45.6%)을 꼽았다고 밝혔다. 이어 관리자는 `임금 하향조정'(14.3%)과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단체협약 등개편'(13.9%) 등을, 노조대표는 `현행 연월차 휴가 유지'(28.5%)와 `기존 단체협약및 취업규칙 유지'(7.3%) 등의 순으로 꼽았다. 7월부터 법정근로시간이 단계적으로 단축되는 데 따라 시급한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관리자들은 `연월차 및 기타 휴일 조정'(27.7%)과 `업무 집중도 및 생산성 제고'(27.0%), 노조대표는 `임금수준 및 체계 개편'(39.4%)과 `연월차 및 기타 휴일 조정'(23.2%) 등의 순으로 들었다. 김 연구위원은 "임금보전과 휴가조정을 상호 수용한 뒤 그 외의 사안을 조정하는 식의 협상이 갈등을 피할 수 있는 교섭방향"이라며 "또 임금을 보전하되 기업의 임금 또는 노동비용이 급상승하면 생산능력이 축소되고 고용조정 가능성이 커지는만큼 단기적으로 임금상승률을 둔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조성재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이 확산되고 대기업의 일자리는줄어들었으며, 고용형태와 기업규모간 임금격차가 심화됐다"며 "고임 부문의 임금인상은 자제하되 저임 부문은 인상률을 높이는 등 `사회통합형 임금교섭'과 기업내 청년층 채용, 실근로시간 단축, 사내하청 정규직화 등의 방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