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외교부 공무원들 한일 과거사 청산 무관심"

사할린 동포지원기금 조성등 앞장 박선영 선진당 의원


"치욕적인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을 맞아 모두에게 버림 받은 사할린 동포와 강제 종군위안부 문제 등 한일 과거사 청산의 매듭을 풀기 위해 제가 일본의 여야 거물들을 적극 만나 설득하고 있는데요, 외교부 공무원들은 국민의 공복이 맞나 의심이 들 정도로 무관심한 게 현실입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박선영(54) 자유선진당 의원은 15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치자금 모집이 꼴찌인 여성 초선 비례대표이지만 자비를 들여 사할린동포지원기금 조성과 강제 종군위안부에 대한 배상과 보상을 하는 법 등을 만들도록 일본 정계를 두루 접촉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이와 관련, 오는 10월1~3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 등 일본 자민당의 유력 정치인들을 두루 만날 예정이다. 현재 44명의 국내 의원들이 참여한 사할린포럼에 일본 의원들도 참여시킬 계획이다. 앞서 지난 5월에는 간 나오토 일본 총리와 에다 사쓰키 참의원 의장, 요코미치 다카히로 중의원 의장과 단독 면담하는 등 30여명의 의원들을 만나 사할린 동포, 종군위안부, 문화재 반환, 재일 한국인 지방참정권 문제에 대해 "이제는 과거사를 털고 나아갈 때"라며 우리 측 입장을 적극 설파했다. "그 결과 일본 민주당 쪽은 사할린동포지원기금을 한일 양국이 반반씩 조성하는 것과 종군위안부 배상 관련법에 대해 70~80%가량 설득이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자민당은 '한국이 자기들 때문에 근대화를 이뤘다'는 극우적 시각을 가지고 있어 애로가 큽니다만 얼굴을 붉히는 대신 인권 차원에서 마음을 열고 대화하다 보면 성과가 있을 것입니다." 자유선진당의 명대변인으로 꼽히는 박 의원은 국가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한일 간의 잘못된 과거사를 바로잡고 북한 인권을 개선해야 한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3월 중국 하얼빈과 뤼순ㆍ다롄에서 안중근 의사에 관한 국제세미나를 열었고 7월에는 사할린 한인 문제 해결을 위해 현지 사할린국립대와 세미나를 주최했다. 8월에는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캐나다에서 16개국 의원들을 초청해 세미나를 열었고 한일 양국의 의원들이 을사조약이 무효임을 선언하는 양심선언을 추진했다. 최근에는 사할린 문서기록보존소로부터 강제징용된 한인들의 규모와 동원 과정, 항일운동 내용 등이 기록된 자료들을 처음으로 제공 받는 성과를 올렸다. 박 의원은 "자료가 하바롭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에 흩어져 있어 모스크바 쪽과 접촉해야 하는데 정부는 자료를 확보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고 한숨을 쉬었다. 보수는 한일 과거사 청산에 무관심하고 진보는 북한 인권에 대해 눈감는 현실에 대해서도 개탄을 금치 못했다. 동국대 교수로서 헌법주의자 겸 인권주의자라고 밝힌 박 의원은 "보수ㆍ진보를 떠나 한일 과거사 청산과 북한 인권 개선, 중국 등을 떠돌고 있는 탈북자와 국군 포로 문제 해결에 발벗고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