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車 노조 납품비리 의혹

노조 보증으로 4억 대출받은 업자 납품중단 잠적<br>노조선 고소도 않고 미온적…경찰 본격내사 착수

십수억원대에 달하는 현대자동차 노조의 기념품 납품비리에 대해 경찰이 본격 내사에 착수했다. 국내 최대 규모인 현대차 노조에 대한 기념품 납품 사업권은 매년 10억~20억원대에 달하는 이권사업인데다 그동안 납품업체들간의 치열한 이전투구로 각종 의혹 등이 제기돼왔지만 사법당국에서 직접적인 납품비리 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울산경찰청은 25일 13억2,000만원대의 현대차 노조 창립기념품 납품 사업자로 선정된 업체 대표가 노조의 지급확약서를 담보로 노조 주거래은행을 통해 4억여원을 대출받은 뒤 납품을 중단한 채 잠적한 것은 물론 제품 상당수가 불량품들이라는 각종 의혹이 제기되자 납품과정 전반에 대해 본격 내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 기념품인 ‘휴대용 파라솔 의자’ 납품 사업자로 선정된 대구 소재 D유통업체 대표 A모씨는 최근 노조측으로부터 넘겨받은 물품대금 지급확약서를 담보로 외환은행 울산 양정동지점에서 4억원을 대출받은 뒤 잠적한 것으로 드러났다. D사는 이 과정에서 전체 납품물량 4만3,000개, 13억2,000만원 가운데 3만5,000여개만 납품한 뒤 계약금과 중도금조로 7억9,000만여원을 지급받은 데 이어 추가 납품을 위한 자금이 모자란다며 은행대출용으로 노조측으로부터 나머지 납품대금에 대한 지급확약서를 받아낸 것으로 밝혀졌다. 현대차 노조의 올 창립기념품은 개당 3만원에 납품계약이 맺어졌지만 중국 수입품인데다 품질이 조잡하고 상당수는 불량품들이어서 노조원들로부터 큰 반발을 샀다. 현대차 노조 납품비리 의혹 내사에 착수한 경찰은 현대차 노조가 물품 수입조차 제대로 못할 정도로 자금력이 빈약한 업체를 무려 13억원대의 기념품 납품 사업체로 선정한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D사 대표 잠적 이후 노조가 즉각 고소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나머지 미납 제품 지급을 위해 다른 업체를 서둘러 선정하는 등 후속 대응이 석연치 않다고 판단, 이 부분에 대해 집중적인 내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노조의 지급확약서를 근거로 납품잔금을 대출해준 외환은행측은 업체 대표가 대출금을 갚지 않을 경우 지급확약서의 법적 효력 여부 등을 가려 노조를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대해 노조측은 “AS 등 모든 계약거래가 끝나면 제3자 입회하에 업체에 잔금을 갚고, 업체는 그 돈을 은행에 갚는다는 조건으로 지급확약서를 써준데다 연대보증이 아니기 때문에 대출과 관련해 책임이 없다”며 “노조 진상조사위원회를 통해 이번 선물 납품 등에 대해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