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나누면 커집니다] 대한생명

모든 임직원 年 20시간 봉사활동

대한생명 임직원과 FP(재무설계사) 등 2만5,000명으로 구성된 '사랑모아봉사단' 은 전국 140개 봉사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장애우와 노인, 보육원 등 지역사회의 소외된 이웃이나 시설과 1대 1로 자매결연을 맺고 매월 1회 이상 봉사활동을 진행한다. /사진제공=대한생명

대한생명 사회공헌활동의 핵심은 임직원과 FP(재무설계사) 등 2만5,000명으로 구성된 '사랑모아봉사단'이다. 대한생명 전 임직원은 연간 근무시간의 1%(약 20시간) 이상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다. 또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전직원이 자발적으로 매월 급여의 일정부분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적립하는 '사랑모아 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회사도 매칭그랜트(Matching Grant) 제도에 따라 매월 직원 모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사회공헌 기금으로 출연한다. 대한생명은 신입사원 및 신입FP 교육과정에서도 반드시 봉사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입사와 동시에 사랑모아봉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게 되는 셈이다. 사랑모아봉사단은 전국 140개 봉사팀으로 구성된다. 장애우와 노인, 보육원 등 지역사회의 소외된 단체와 1대 1로 자매결연을 맺고 매월 1회 이상 봉사활동을 진행한다. 복지시설 환경정리를 비롯해 장애우 사회적응 훈련과 어린이 문화체험 행사, 노인 치료프로그램 보조 등을 전국 각 지역에서 펼치고 있다. 지역재난구호사업도 전국 영업망을 가진 대한생명의 사회공헌활동 중 하나다. 지역봉사팀 스스로 지역사회에서 신뢰를 쌓기 위해 재난구호활동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09년 2월에는 겨울가뭄으로 식수조차 구하기 어려운 태백지역에 가장 먼저 달려가 2리터 생수 1만2,000병을 전달했다. 이밖에도 양양 산불 피해, 영월 수해, 강원도 폭설피해 등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자원봉사단을 파견해 긴급구호물품 등을 전달했다. 임직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으로는 농촌돕기 자매결연 사업을 꼽을 수 있다. 회사는 사내 인트라넷에 자매결연을 맺은 지역의 농산물을 직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를 열어 임직원의 참여를 확대했으며, 직원 가족들의 농촌마을 체험 등을 통해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농촌일손돕기, 농촌 어르신 식사대접, 독거노인 집수리 등 농촌 봉사활동 등도 폭넓게 전개하고 있으며 직원이나 FP가 금융 및 재테크 강좌, 재무설계 등을 통해 경쟁력을 지닌 농촌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안도 준비 중이다. 청소년을 위한 봉사단을 설립하기도 했다. 지난 2006년 1월 탄생한 '해피프렌즈봉사단'에는 전국 10개 지역 33개 중ㆍ고등학교 학생 290명이 참여해 월 1회 이상 봉사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방학기간에는 사랑의 집짓기, 사랑의 연탄배달, 청소년 금연캠페인 등 다양한 캠프에도 참여한다. 대한생명은 사회공헌 홈페이지(welfare.korealife.com)를 통해 전국의 봉사팀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월별ㆍ분기별 활동계획서와 활동결과 보고서를 전산화하고 봉사활동 평가 측정표 등을 통계화해 활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해마다 창립기념일(10월9일)을 전후해 '자원봉사 대축제'를 개최한다. 또 매해 봉사리더 세미나를 1박2일 동안 개최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