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탄핵때 차라리 정치적 운명 끝났으면 했다"

노대통령 '집권 3년 野史' 공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26일 취임 3주년을 맞아 대국민 서신을 통해 탄핵사태와 대연정 등 정치적 사건에 얽힌 권력 핵심부의 `뒷얘기'를 소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노 대통령은 우선 `질풍노도'의 시기로 표현되는 지난 3년을 "국민의 힘으로 한고비 한고비를 극복한 시기였다"고 전제한 뒤 "날마다 참모들과 경제위기 타개 방안을 논의하면서도 너무나 무거운 짐에 가위눌린 것 같은 심정이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때로는 절망한 적도 있었다"면서 "2004년 탄핵 때는 차라리 제 정치적 운명이 거두어지기를 바랐던 것이 솔직한 심경이었다"고 전했다. 노 대통령은 또 지난해 4.30 재보선을 계기로 의회구도가 여소야대로 환원된 뒤 한나라당에 대연정을 제안하게 된 배경과 함께 만약 대연정이 성사됐을 경우에 대비했던 권력구조 운용 구상도 공개했다. 노 대통령은 "대연정은 정당 간에 크게 주고받는 정치협상이다. 빅딜"이라면서"양극화문제와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라는 정책과제를 함께 풀기 위해 국무총리와,국방.외교.통일 분야를 제외한 내각을 한나라당에 넘겨주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대연정 수락으로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지역구도를 해소할 선거구개편을 받아낼 수 있다면 나라의 미래를 위해 사실상 "권력을 통째로 내놓을 수 있다"는 생각도 했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또한 그 과정에서 열린우리당 지도부에 자신의 생각을 털어놓고 국민과 여당을 설득해보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으나 대연정 구상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논의의 틀이 왜곡되고, 결국 대통령의 신뢰 훼손으로 이어졌다고 책망했다. 이어 노 대통령은 "대연정 제안은 의욕이 앞선 채 치밀한 준비가 부족했던 제자신의 실책이었다"고 자책했다. 그러면서도 노 대통령은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지금도 한나라당이 왜 대연정을 거부한 것인지 그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는 점"이라며 의문을 감추지 못했다. 올초 사회 양극화 문제제기를 둘러싼 청와대 내부의 논의 과정도 공개됐다. 노 대통령은 "올해부터는 대통령 지지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도있었고, 한편으로는 지방선거가 다가오는데 정치적 논쟁을 유발할 새로운 과제는 피해야 한다는 계산도 있었다"며 "그러나 문제를 회피하지 않기로 하고 양극화 문제를사회적 의제로 제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향후 안정적 국정운영과 여당 등 정치권과의 관계를 들어 일부 참모진들이 부정적 의견을 냈지만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일"이라는 노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양극화 문제 공론화에 나섰다는 얘기다. 노 대통령은 "성공한 대통령보다 원칙과 용기를 가지고 열심히 일한 대통령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으로 3주년 서신의 끝을 맺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