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899개 PF 사업장중 최대 20%가 '위험등급'

"또 다른 금융시장 불안 뇌관 정리"<br>C등급엔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검토<br>지방저축銀 10곳은 '경영 불안' 확인


지난 6월 말 현재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은 14.3%로 은행권에 비해 21배 이상 높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상호저축은행의 PF가 금융시장 불안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금융당국이 899개의 전사업장에 대해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정부는 10ㆍ19 부동산 대책으로 PF 부실화 우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취약한 저축은행의 경우 정리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잠정 조사 결과 전체 사업장 가운데 최소 10%, 최대 20%가 부실화됐거나 부실 우려가 높은 C등급(취약ㆍ위험)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금융당국이 PF 전수 조사와 더불어 저축은행 업계에 대해 재무상태도 살펴본 결과 지방에서 10여개 저축은행이 PF 부실 심화 등으로 어려운 상태에 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PF 대책 어떻게 추진되나=정부는 전수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PF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대책 방향은 PF 사업장 자체와 저축은행 등 크게 두 갈래다. PF 사업장 대책은 취약ㆍ위험으로 분류된 C등급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이들 C등급 사업장에 대해서는 저축은행ㆍ제1금융권 등 PF 이해 당사자들이 펀드를 조성, 사업을 지속시키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저축은행 대책으로는 C등급을 보유한 해당 상호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시키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 충당금 추가 적립률은 공통으로 적용할지, 아니면 위험도에 따라 차등 적용할지 등을 고려 중이다. 모 저축은행 사장은 “우량 사업장도 적지않다”며 “C등급을 제외하고는 현 상황에서 사업을 유지해나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PF 부실 심화 등으로 재무상태가 급속히 악화돼 부실 우려가 커진 저축은행에 대해 적기 시정조치를 적극 활용, 인수합병(M&A) 등 구조조정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미 금융위원회는 구조조정 촉진을 위해 부실 상호저축은행 인수 시 지점 설치 등에 혜택을 주는 방안을 입법예고한 상태다. ◇추가 10개 저축은행 경영상태 위험=금융당국은 PF 사업장 전수 조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부실 우려 저축은행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해왔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부실 위험이 높은 10여개 은행에 대해 면밀히 살펴왔다”며 “하지만 최근에 부동산 경기가 더 악화되고 저축은행 주수익원인 PF 대출 연체율도 증가하면서 추가로 10여개 저축은행이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실 저축은행이 추가로 나왔다면 지방 저축은행 중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방 저축은행의 경우 최근 들어 사정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10ㆍ19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 급랭은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일부 부실 저축은행의 시장 퇴출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 6월 말 현재 저축은행 PF 대출 잔액은 21조2,000억원이다. 현재 대손충당금으로 9,600억원을 적립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