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ㆍ고등학생 100명 중 9명만 “과학기술자 희망”

국내 중ㆍ고등학생 100명 가운데 겨우 9명만이 장래 희망으로 과학기술자를 꼽아 청소년층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재단이 YMCA와 공동으로 지난 2월 전국 15개 도시의 중ㆍ고생 2,1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0일 발표한 `청소년의 전로선택에 대한 조사`결과 장래에 과학ㆍ연구계(과학자 및 연구원)에 종사하겠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0%에 불과했다. 또 정보ㆍ설계ㆍ기술계(컴퓨터 관련, 건축가, 엔지니어 등) 희망자도 6.9%에 그쳐 과학기술 관련에서 일하기를 바라는 비율이 9%에도 못미쳤다. 반면 교육계가 26.5%로 가장 많아 안정적인 직업을 갖기를 바라는 최근의 추세를 반영했고 의료계도 15.9%로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최근의 극심한 취업난과 조기퇴직추세 영향으로 안정적이고 고소득 전문직에 대한 강한 선호경향을 보여준다. 이어 ▲방송ㆍ연예ㆍ예술ㆍ스포츠계 11.4% ▲사회봉사ㆍ종교ㆍ서비스계 9.1% ▲미용ㆍ요리ㆍ디자인계 8.2% ▲관료ㆍ법조계 8.0% 순이었다. 장필호 산업기술재단 기술확산팀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이공계 기피 대책이 초중고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 및 동기유발에 최우선을 둬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공계 기피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는 25.5%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잘 알기 위한 상담이나 적성검사`를 들었다. 이공계열과 관련한 다양한 직업정보 제공(20.1%), 산업기술현장 및 과학관련시설 견학 및 체험 프로그램(12.8%), 각종 사회적 캠페인(11%)의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많았다. 희망 직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즐겁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아서(23.2%)가 1위였고, 이어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서(14%),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13.2%)가 차지했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