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섬'

어떤 충동을 느낀다면 그것은 대개 ‘마음 속에서’이다. 누군가가 너무 미워서 죽이고 싶다던가, 너무 좋아 소유하고 싶다던가. 그것이 생각 속이거나 최소한 현학적으로 표현된다면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현실로, 몸으로 표현될 때는 ‘엽기’라고 부른다.‘섬’은 엽기적이다. ‘감각의 제국’개봉시 ‘섬’은 ‘집착’과 ‘도착’의 양상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주목거리가 됐다. 여자 희진(서정)은 낚시터 ‘섬’에서 낮에는 커피를, 밤에는 몸을 판다. 뭍과 떨어진 섬에서는 인간의 법칙이 깨진다. 비록 그곳이 인공적으로 만든 낚시터에 불과하더라도 육지와 어느 정도 떨어진 곳이라는 이유로. 남자들은 한 여자를 돈으로 사서 번갈아 섹스를 하고, 시선을 피할 수 있다는 이유로 불륜 행각을 벌인다. 섬은 본능의 공간이다. 남자(김유석)는 아내인지 애인이지 모를 여자와 그 여자와 정사를 벌인 남자를 살해했다. 본능에 따라 살인하고, 섬으로 숨어든 그는 그러나 다른 여자의 본능의 포로가 된다. 여자는 권총 자살을 하려는 남자의 허벅지를 찔러 자살을 막았고, 낚시바늘을 삼킨 남자의 목구멍에서 하나 하나 바늘을 뽑아냈고, 섹스를 했다. 섬에 사는 여자에게 몸은 물물교환이 가능한 재화이자 본능의 지시를 받는 순수한 시종이다. 일탈과 집착이 몸으로 표현될 때 그것은 ‘엽기’이다. 남자를 찾아온 티켓다방 종업원을 죽게 만들고, 그녀를 찾으러 온 포주를 살해한 여자에게 남자는 공포심을 느낀다. 떠나려는 남자의 등을 보면서 여자는 낚시 바늘을 자신의 아랫도리에 넣어 그를 다시 결박한다. 집착에 결박당한 남자와 여자의 운명은 파국 외엔 아무것도 없다. ‘백치 아다다’처럼 말을 못하는(영화에서는 일부러 ‘안하는’) 여성이 본능적인 감성이 더 살아있다는 설정이 과연 합당한 것일까. 영화 초반 카메라는 왜 그토록 여자의 몸에 집착했을까. 그러나 섹스를 ‘애매한’ 감성의 교류가 아니라 집착을 구체화하는 물리적 행위로 드러내면서 인간의 존재를 분석하는 감독의 시선은 독특하다. 이렇게 보면 엽기는 인간 본성을 보는 또 하나의 거울이다. 그것은 또 무소유의 공간이었던 자궁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마지막 몸부림일 수도 있다. 오락성★★★☆ 예술성★★★☆   박은주기자 입력시간 2000/04/13 18: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