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책과 세상] 생태계 파괴 위기 극복위한 대안 제시

■ 우주이야기 (토마스 베리·브라이언 스윔 지음, 대화문화아카데미 펴냄)


우주의 탄생을 논할 때 과학과 종교의 대립은 불가피하다. 미국의 저명한 생태신학자이자 문화사학자인 토마스 베리(1914~2009) 신부는 수리물리학자 브라이언 스윔과 함께 과학적 우주론과 종교적 우주론의 통합을 시도했다. 저자들은 우주론을 이야기 형태로 풀어내 인간과 우주, 신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베리 신부는 우주의 생성과 진화 과정은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데 정신적 활력을 준다며 우주 이야기는 우주와 우주 안에서 인간의 위치와 인간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라고 말한다. 또 우주 이야기는 세계에 대한 우리 인식과 이해, 즉 '세계관'을 반영한다고 설명한다. 오늘날 서구 문명의 사람들이 가부장제, 환원주의, 과학적 물질주의 등에 강하게 영향받은 것도 우주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베리 신부는 "우주 이야기가 더 이상 그 시대 상황에 적합하지 않아 생동감을 잃어버릴 때 인간은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어 현재 지구가 산업문명으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다며 이로 인해 생태계 자체도 큰 위기에 처했다고 경고한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지구가'생태대'(Ecozoic era)로 비약해야 한다는 우주론적 대안을 제시한다.'생태대'란 지구공동체 전 구성원들의 친교를 바탕으로 '황폐해진 지구를 치유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지구가 생태대로 도약하지 못하면 미래는 '기술대'(Technozoic era)가 된다며 이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이며 유전공학 같은 기계적 통제로 자연적, 생물학적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은 큰 착각이라고 저자들은 경고한다. 책은 '생태대'라는 비전이 지구에 대한 심오한 통찰이라며 자연 세계가 그 나름대로 진행되도록 내버려두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1만 6,000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