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미사일 발사] '늑장대응' 또 도마

발사 하루 지나서야 항로변경 지시


[北미사일 발사] '늑장대응' 또 도마 발사 하루 지나서야 항로변경 지시 김호정 기자 gadgety@sed.co.kr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라 미국 동부와 중부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여객기에 대해 동해 상공이 아닌 태평양 상공을 운항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이번 항로 변경지시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만 하루가 지난 뒤에야 내려져 정부의 늑장 대응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는 7일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 해역에 비행금지 기간을 11일까지 설정했다는 정보에 따라 대한항공ㆍ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사에 이날까지 캄차카 항로 이용 여객기를 태평양 항로로 변경 운항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정상호 본부장은 "11일 이후에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른 여객기 안전의 위험이 존재할 경우 항로 변경 기간은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건교부 지시가 내려진 지난 6일 오후10시부터 미주 대륙에서 출발, 인천으로 들어오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비행기는 기존의 캄차카 항로 대신 태평양 항로를 통해 들어오고 있다. 건교부에 따르면 캄차카 항로는 캄차카 반도를 거쳐 동해 북한 상공을 통과하지만 태평양 항로는 일본 나리타, 포항 등을 지나므로 북한 상공을 운항하지 않는다. 뉴욕ㆍ워싱턴ㆍ시카고 등 미 동부와 중부 지역에서 인천으로 들어오는 항공기들은 운항시간이 적고 유류비를 절약할 수 있어 주로 캄차카 항로를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번 항로 변경으로 비행시간이 30분 이상 늘어나게 되고 승객들이 실을 수 있는 짐도 줄어든다. 실제로 7일 새벽 뉴욕발 대한항공 KE086편은 항로 변경으로 예정 도착시간보다 1시간12분가량 늦은 5시17분에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대한항공의 경우 매일 5편 내외의 항공기들이 항로를 변경해야 하며 아시아나항공도 11일까지 미주 대륙발 18편과 사할린, 하바로프스크발 8편 등이 태평양 항로를 이용하게 된다. 해양수산부도 6일 오후3시를 기해 선사와 어민들을 대상으로 가능하면 해당지역 항행을 피하도록 주의를 촉구한 데 이어 7일 오후에는 해당 지역으로 항행할 경우 당국에 사전 통보하도록 조치했다. 임기택 안전관리관은 "현재 동해상에는 대화퇴어장에 23선척의 어선이 조업을 하고 있고 정기선의 경우 카페리호 뉴동춘호가 주2회(월ㆍ목요일) 해당지역을 통해 러시아로 운항한다"며 "항공기가 동해상에서는 돌아서가도록 조치했듯이 어선이나 상선도 북한이 동해 해당 해역의 운항금지 조치를 내린 시한인 11일까지는 가능하면 일본측 가까이로 돌아서가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이 5일 새벽 미사일을 발사한 뒤 하루 이상 지난 6일 저녁에야 캄차카 항로 회피 명령을 내려 비행기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제때 배려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북한 미사일 발사 수십분 전에 시카고발 인천행 아시아나항공 OZ235편이 북한 미사일이 떨어진 해역 상공을 운항한 것으로 밝혀졌다. 항공 안전을 책임지는 건교부는 북한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여러 차례 감지됐음에도 관련 매뉴얼을 작성하지 않았고 국방부 등으로부터 미사일 발사 정보를 전달받지도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력시간 : 2006/07/07 17:2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