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안함 함미 인양] "6자회담 보다는 천안함 규명이 우선"

美 캠벨 국무부 차관보… 당분간 6자회담 열기 어려울듯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4일(현지시간)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현 시점에서는 천안함을 인양하고 함정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한국 측에 전했다"고 말했다. 캠벨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 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캠벨 차관보는 이어 "(사고 원인 규명 후)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전개된 상황을 바탕으로 다음 조치를 취한다는 데 양국이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전했다. 캠벨 차관보의 이날 발언은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지난 12~13일 핵안보정상회의에 맞춰 워싱턴을 방문한 후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위 본부장이 켐벨 차관보를 비롯해 미 고위당국자들을 만나 이 같이 논의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미 양국은 최근 천안함 사태에 따른 6자회담 관련 문제를 논의했으며 당분간 6자회담 재개 논의를 보류하자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도 "(만약) 북한이 했다는 데로 회담이 진행되면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있을 수 있다"며 당장의 6자회담 논의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하더라도 북한이 요구하는 6자회담에 앞선 북미 추가 접촉이 없는 상황에서 회담이 어떻게 전개될 지 큰 기대를 갖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과거에는 큰 방문이 회담 진행과 관계가 있었지만 (최근) 중국 쪽 분위기를 보면 김 위원장이 방중한다 해도 6자회담이 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즉 김 위원장의 방중이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의미한다는 그동안의 전망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결국 천안함 침몰 사고에 대한 원인 조사 결과 북한의 소행으로 판명 나면 6자회담 재개는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이며 전반적인 남북관계는 물론 북미관계 역시 상당 기간 경색될 것으로 전망된다. 천안함 침몰 사고 여파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에도 먹구름이 끼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