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국 車시장 세계 14위 '1단계 하락'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내수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늘었지만 국가별 순위는 한단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회장 이영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내수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2.1% 많은 115만대로, 3년만에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가별 순위는 세계 14위로 2004년보다 1단계 하락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내수규모 순위는 2002년 9위까지 올랐으나 이후 2003년 11위등으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 내수규모가 가장 큰 나라는 세계 전체의 26.5%인 1천744만대를기록한 미국이며, 일본(585만대)과 중국(576만대)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국은 지난해 전년대비 13.5%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는 자동차내수규모가 600만대를 넘어 일본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됐다. 다음으로 자동차 내수규모가 큰 나라는 독일(364만대), 영국(283만대), 프랑스(260만대), 이탈리아(251만대), 스페인(199만대), 캐나다(163만대), 브라질(163만대)등이 차지했다. 협회는 "상위 5위권의 자동차 내수규모 비중이 세계 전체 내수규모에서 53.9%를차지하고 있다"며 "그러나 미국은 지난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해마다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협회는 우리나라의 내수 판매가 3년 연속 저조한 실적을 보이는 등내수규모가 점차 축소되면서 자동차산업 기반 자체를 취약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고지적했다. 지난해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중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160만대 이상의 안정적인 내수 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구 천명당 승용차 보유대수도 2004년 독일 550대, 프랑스 497대, 영국 496대, 미국 458대, 일본 439대, 한국 222대 등으로 BRICs를 제외한 국가중 우리나라가 가장 낮다는 것이다. 협회는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장기 발전을 위해서는 특별소비세 폐지, 자동차세 인하 등의 내수 진작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며 "특히 생활필수품화된 자동차에대한 특별소비세 과세는 의미가 없고 경기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