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화 '의형제' 남과 북 두 남자 '인간적으로' 만나다

[Review] 南 국정원 직원·北 공작원 조직서 버린 남자 우정 그려<br>송강호·강동원 연기 조화 첩보물 형태의 휴먼드라마

의심에서 시작한 남과 북 두 남자의 만남이 우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그린 '의형제'는 '영화는 영화다'로 충무로의 기대주로 떠오른 장훈 감독의 두 번째 작품이다.

'인간적으로' 모든 정치적인 사안들에서 자주 간과되는 것이 있다. 그것이 모두 사람 사이의 일이라는 점이다. '빨갱이 잡는' 남한의 국정원 직원과 '조국의 배신자를 처형하는' 북한의 공작원 역시 가족이 있고 감정이 있는 사람이라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의형제'는 분단 역시 결국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소소한 사람들 사이의 이야기라는 데 초점을 맞춘 영화다. 영화의 시작은 여느 첩보 스릴러물과 같다. TV에서 남궁옥분의 '재회'가 흘러나오자 두 남자의 발걸음이 빨라진다. 한 남자는 조국의 배신자를 처형하기 위해, 다른 한 남자는 그 '빨갱이'를 잡기 위해. 배신자를 처형하는 과정에서 작전에 차질을 빚은 남파 공작원 송지원(강동원)은 조직으로부터 버림받고, 남파 공작원 검거에 실패한 이한규(송강호)는 국정원에서 파면된다. 영화는 버림받은 남ㆍ북한의 두 남자가 6년 후 재회하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송지원은 북으로 되돌아 가기위해, 이한규는 현상금을 노리고 송지원에게 접근한다. 분단이라는 큰 사안 속에 있지만 영화가 보여주는 대립은 남ㆍ북 간의 그것이 아니다. 지원은 도망간 동남아 신부를 잡는 일을 하며 이주 여성을 돈으로만 보는 한규를 경멸하지만 지원 자신도 북으로 돌아가기 위해 돈이 필요한 처지다. 둘의 합의점은 '인간'이라는 데서 나온다. '인간적으로 행동하자'는 말에 이혼 후 자식을 볼 수 없는 한규와 아내와 딸을 북에 두고 온 지원 사이의 빗장은 서서히 풀린다. '의형제'는 2008년 저예산으로 데뷔작'영화는 영화다'를 찍어 각종 상을 휩쓸며 충무로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장훈 감독의 두 번째 영화다. 장훈 감독은 35억원의 예산과 송강호ㆍ강동원이라는 든든한 배우를 얻더니 첩보물의 외피를 입은 잘 만든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이상적이게 보일 수 있는 드라마를 현실적으로 구현한 데는 두 배우의 공이 컸다. 특히"송강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는 감독의 말처럼 송강호는 모든 감정을 세세하게 구체화시키는 연기를 선보인다. 송강호가 아니면 그 역을 상상할 수 없게 해버리는,'송강호 장르'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다. 강동원 역시 송강호의 다채로운 연기를 절제하는 연기로 받아 영화의 호흡을 고르게 했다. 두 배우를 주연으로 내세운 영화의 경우 호흡이 얼마나 중요한 지 다시 한 번 보여준 것이다. 2월 4일 개봉.
"흔들리는 눈빛 표현 많아 지금까지 역할중 가장 힘들어"

■ 강동원 인터뷰 "북한에서 온 새터민들 인터뷰 보며 공부했죠" 영화배우 강동원(29)의 작품 두 편이 곧 극장에 나란히 걸린다. 악동 같은 도사로 활약했던 '전우치'에 이어 이번엔 비밀스런 남파공작원 역의 '의형제'로 돌아온 것. 2년 여간 관객 앞에 보이지 않더니 최근 굵직한 작품들을 잇따라 토해내고 있다. 21일 서울 종로에서 만난 그는 또 다른 영화촬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갑자기 작품을 쏟아내는 이유를 묻자 "놓치고 싶지않은 작품들이 계속 들어온다"고 설명했다. 영화 '의형제' 역시 '전우치' 촬영이 끝나고 2주 만에 찍기 시작한 작품이었다. 북에서 남파된 공작원 역을 맡은 그는 북한 새터민들의 인터뷰를 보면서 그들의 모습을 공부했다고 말했다. 그들의 특징이 뭐냐고 묻자 "자긍심과 자존심이 강한 사람들이다"라며 "영화 속 한규(송강호)처럼 돈 밝히는 사람을 싫어한다"고 덧붙였다. 영화 속에서 남파공작원 지원이 한규의 말을 무시하고 지나가는 장면이 종종 나오는데 이런 장면들이 북한 사람들의 자존심과 자본에 대한 경멸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는 이번 작품이 "지금까지 맡은 역할 중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비밀스런 역이기 때문에 표현을 할 순 없는데 감정은 전달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는 "시나리오에 '흔들리는 눈빛'이 너무 많았다"며 "그걸 표현하느라 힘들었다"고 말했다.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인간적으로"라는 대사의 의미에 대해 묻자 "사람 대 사람인거죠"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북에서 온 사람이건, 남에서 사는 사람이건 그의 직업이 무엇이든 간에 그도 한 사람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이 '의형제'가 말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