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업무효율 확대"-"대형 비리 재발"

'방위사업청 개편' 논란 여전히 진행중

방위사업청의 핵심 기능을 국방부로 이관하는 '방사청 개편안'이 추진되면서 지난 2006년 1월 참여정부 당시 무기획득 비리를 차단하고 방위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사청이 기로에 서게 됐다.

무기획득 전반을 관장하는 방사청이 너무 비대해져 업무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국방부의 판단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과거처럼 대형 비리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국방부가 예산편성권 등 가져오기로='방사청 개편안'은 2008년부터 꾸준히 제기됐으며 최근 정부 부처 간에 시행방안을 놓고 구체적인 법적 검토를 벌이고 있다. 국방부는 국방예산 절감 방안으로 무기조달과 획득체계 개선, 군수ㆍ시설계약 투명성 및 효율성 제고 등 네 가지를 꼽고 있다. 또 무기소요와 획득, 운영유지 기능을 국방부에 집중,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방사청과 국방부로 분리된 예산편성 기능이 예산낭비를 초래하는데다 방사청이 국방연구개발과 방산수출에 국가 역량을 총결집할 수 있는 여건도 갖지 못해 효율적인 국방획득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육군 출신의 한 예비역 장성은 "방사청의 경우 다른 기관의 견제와 균형을 받지 않는 독립기관이나 다름없다"면서 "방위력 개선 분야의 중기계획을 작성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기능을 방사청 같은 외청에 두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말했다.

◇"과거로 회귀 때는 대형 비리 재발할 수도"=방사청은 참여정부 당시 무기소요 결정권을 육군 중심의 국방부와 합참에 맡기지 않고 독립적인 '외청'에서 담당하도록 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자군 이기주의를 막아보자는 취지에서 출범했다.

국방부와 육해공군ㆍ국방조달본부 등 군내 8개 기관에 분산된 무기거래와 관련된 일을 떼어내 설립됐으며 출범 후 대형 무기 도입과정의 비리를 없애고 무기거래의 투명성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방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방사청 조직을 축소해 국방부가 무기거래의 모든 과정을 장악할 경우 과거처럼 대형 비리가 재발할 수 있다"면서 "방사청의 존재목적인 무기거래 투명성과 전문성 제고가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군 출신의 한 예비역 장성도 "국방획득체계 개편은 육군 위주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