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민주당 聯政추진론 핫이슈로

"靑 움직임 심상찮다" 관측 힘얻어<br>내달 2일 與 전당대회서 본격거론 점쳐…일부선 "이강철 수석이 정무 챙길것"

與-민주당 聯政추진론 핫이슈로 "靑 움직임 심상찮다" 관측 힘얻어내달 2일 與 전당대회서 본격거론 점쳐…일부선 "이강철 수석이 정무 챙길것" 집권당인 열린우리당과 열린우리당의 모태인 민주당간 연합정권(연정) 추진론이 정치권의 뜨거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정론은 여권의 민주당 전ㆍ현직 의원에 대한 입각제의 파문을 계기로 제기돼 청와대의 최근 심상치 않은 움직임으로 더욱 힘을 얻어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오는 4ㆍ30 재ㆍ보궐 선거를 앞두고 4월2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 연정론이 본격 거론될 것이란 시간표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여권 연정 추진론의 중심에는 청와대가 있다. 우선 노무현 대통령이 자신의 오랜 정치적 동지로 대통령 당선 후 정무특보를 지낸 이강철 열린우리당 집행위원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으로 임명한 것을 주목하고 있다. 이 수석은 26일 기자들과 만나 “노 대통령의 당정분리 원칙은 확고하고 원칙은 아직 바뀐 게 없다”며 “당과 정간의 조율은 정책을 통해서 하고 청와대에서는 정책실이 이 같은 업무를 담당한다”고 밝혀 일단 청와대 정무업무의 창구가 정책실임을 분명히 했다. 이 수석은 그러나 “아무래도 내가 당을 좀 아니까 정책실장이 요청하면 (정무적 업무와 관련) 심부름 정도는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정무적 임무수행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이 수석이 갈등현안 처리 등 시민사회수석의 고유업무 대신 유인태 전 정무수석이 청와대를 떠나면서 폐지된 정무수석 역할을 실질적으로 맡아 연정 등 정무적 업무를 챙길 것이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실이 전날 소식지인 ‘청와대브리핑’을 통해 “설사 대통령이 연정을 할 생각이 있다거나 제의할 생각이 있었다면 그것이 어떻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하고 나선 것도 심상치 않은 대목이다. 이에 앞서 청와대가 민주당 김효석 의원에 대해 교육부총리직을 제의했고 요즘에는 추미애 전 의원 등 민주당 인사들에 대한 입각 제의설까지 파다해 우리당과 민주당간 통합이든 연정이든 물밑논의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정계개편 이야기가 부쩍 많아지고 있는 것은 여당인 우리당의 과반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구도에서 4월 재ㆍ보선을 치를 경우 열린우리당 쪽의 승산이 많지 않아 150석의 불안한 원내과반이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급하게 불 끄기에 나서기는 했다. ‘연정이면 어떠냐’는 청와대의 주장 역시 김효석 의원 입각제의에 대한 야당과 언론의 비판이 ‘독재 공작정치 시절의 망령’이란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명도 나왔다. 이에 따라 청와대가 연정의 총대를 메고 나설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정치권의 일반적 시각이다. 노 대통령도 지난 23일 “(합당을) 하든 안 하든 그 문제는 당에서 판단할 문제로 저는 관여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속내야 어떻든 노 대통령이 누차 강조해 온 대로 당정분리 차원에서 당대 당의 일은 우리당 차원에서 실마리를 풀어야 할 상황이다. 우리당에서는 4월2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합당론’ 내지 ‘연정론’이 쟁점으로 떠오를 조짐이고 이 논란이 어떻게 가닥을 잡느냐에 따라 여권의 구체적인 행동 방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여권 주변에선 ▦4월 재ㆍ보선에서 여당과 민주당의 연합공천에 이은 합당 시도 ▦여당과 소수당과의 사안별 정책연합 ▦한나라당을 포함해서 여야 구별 없는 인재기용을 통한 내각제적 성격 강화 등의 여러 가지 그럴 듯한 시나리오가 그려지고 있다. 한편 민주당 한화갑 전 대표는 이날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공항에 귀국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김효석 의원 등) 남의 당 사람을 입각시키려면 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연정을 구성해야 떳떳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 대표는 이어 "열린우리당의 과반수가 깨져야 정치가 정상화된다"고 말해 묘한 여운을 남겼다. 구동본 기자 dbkoo@sed.co.kr 입력시간 : 2005-01-26 17: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