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경제 점점 식어간다"

WSJ·블룸버그등 외신들 장기불황 가능성 본격 거론

스태그플레이션과 더블딥 등에 대한 우려가 잇따르는 가운데 해외 언론들이 한국경제의 장기불황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거론하고 나섰다. 23일 재정경제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 뉴스위크와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최근 잇따라 한국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지난 17일자 WSJ는 8월의 각종 경제지표는 한국경제가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더 나쁜 상태일 수 있으며 일자리 감소와 부도 증가, 시들해지는 창업열기 등으로 미뤄 경기둔화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도 최근 보도에서 실업률 상승으로 소비자신뢰가 떨어져 정부의 내수진작 노력을 더 어렵게 하고 있고 기업들은 중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며 한국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0일자 뉴스위크는 외부 기고문을 통해 한국경제는 내수와 수출의 격차가 벌어져 매우 취약한 상태라며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와 금리인하도 문제해결에 한계가 있다고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한국의 부유층이 노무현 정부가 자신들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외국으로 떠나고 있다며 이를 일부 부유층 자본의 ‘대탈출(exodus)’이라고 표현했다. FT는 최근 FTSE그룹이 14일 한국과 타이완을 선진국지수 편입 전 단계인 ‘공식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으나 양국이 외환시장 자유화, 외국인 소유 규제 등에서 개선할 점이 많아 선진국시장 지위로 상향 조정되는 것은 오는 2006년 3월에나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