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공기업 민영화 핫이슈 2題 어떻게 될까

산업銀 대우證 상장 폐지에 무게<br>우리금융 경남·광주銀 통합매각할듯<br>산은 제값 받으려면 자회사 상장폐지가 유리<br>"경남·광주銀 지역자본에 분리매각을" 주장도<br>"당초 정부 의도대로 이뤄질지 미지수" 분석도


‘산업은행, 대우증권 상장 폐지냐 유지냐’ ‘우리금융, 경남ㆍ광주은행 통합 매각이냐 분리 매각이냐.’ 산업은행과 우리금융 등의 신임 경영진 체제가 구축되고 민영화 작업이 닻을 올리면서 핫이슈 두 건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은의 경우 대우증권 상장 폐지, 우리금융의 경우 경남ㆍ광주은행 처리 여부가 그것. 금융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현재 결정된 것은 없고 산은ㆍ우리 경영진과 상의, 득과 실을 따져 방향을 정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국책은행 민영화가 당초 정부 의도 대로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산은 제값, 대우증권 상장 폐지가 유리=정부는 연내 산업은행을 지주회사로 전환,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지분 매각에 나설 계획이다. 금융기관의 경우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자회사의 상장을 폐지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는 지주회사가 자회사에 대해 전권을 행사할 수 있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신한금융지주ㆍ한국투자금융지주가 그랬으며 최근 하나은행이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하나증권을 완전 자회사로 만들어 상장을 폐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산은의 매각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회사인 대우증권을 상장 폐지하는 게 유리하다. 구체적 방향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금융위와 산은 내부에서는 대우증권 상장 폐지에 대한 컨센선스가 적지 않다. 문제는 상장 폐지 과정에서 비정부주에 대한 보상 여부. 상장 폐지를 하려면 완전 자회사(지분율 100%)로 만들어야 한다. 올 1ㆍ4분기 대우증권 지분 현황을 보면 산업은행 39.09%, 국민연금 2.93% 등 범정부 지분은 42.02%에 이른다. 우리사주조합 0.05%, 개인 등 기타 57.93%다. 즉 전체 지분의 60%가량을 차지하는 민간 주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경남ㆍ광주은행, 분리매각 가능성 없나=경남ㆍ광주은행은 우리은행이 지분을 각 99.9%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정부 공식 의견은 “분리 매각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통합 매각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며 “이팔성 회장 등 우리금융의 새로운 경영진이 충분한 검토와 논의를 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서는 분리 매각보다는 통합 매각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우리금융이 민영화 과정에서 제값을 받으려면 경남ㆍ광주은행도 함께 파는 것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이팔성 신임 우리금융지주 회장도 우리금융의 대영화를 강조하고 있어 분리 매각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하지만 지방 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남ㆍ광주은행을 분리하고 이를 지역 자본에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어 최종 결정 과정에서 바뀔 여지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민영화, 정부 의도대로 될까=대우증권과 경남ㆍ광주은행 처리도 문제지만 국책은행 민영화가 당초 정부 의도 대로 진행될지도 미지수다. 정부는 임기 내에 민영화를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당장 주식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지분 매각 시기를 잡는 것이 쉽지 않다. 또 산업은행 주도의 국책은행 민영화 방침도 흔들리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이 회장이 국책은행 민영화에 우리금융이 적극적인 인수 의사가 강력해 앞날을 가늠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우리금융 주도 민영화란 우리금융이 산은ㆍ기은 등 은행을 인수, 덩치를 키운 뒤 민영화하는 플랜이다. 문제는 우리금융의 규모가 커질수록 지분매각도 쉽지 않는 등 민영화가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일부에서는 기업은행의 어려운 경제여건을 고려, 민영화를 당분간 보류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은 알고 있다”며 “하지만 이는 개인의 의견으로 당초 정부가 제시한 민영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