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엔 사무총장은 국제 이해관계 조정 '지구촌 재상'


국제연합(UNㆍ유엔) 사무총장은 전세계 180여 회원국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공평무사하게 풀어내야 하는 고난도 외교력이 요구되는 유엔 외교의 사령탑이다. 유엔 사무총장을 ‘지구촌 재상(宰相)’으로 일컫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유엔 헌장에 따르면 사무총장은 사무국의 수석행정관으로서 업무수행에 있어 어떤 정부나 기구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국제공무원으로 규정돼 있다. 사무총장은 유엔총회를 비롯해 안전보장이사회ㆍ경제사회이사회 등 모든 회의에 참여하며 국제분쟁 예방을 위한 조정과 중재 역할에 있어 독자적인 정치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 1만여명의 유엔 직원들에 대한 인사권과 막대한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국제적으로는 국가원수나 총리급 예우를 받는다. 신임 사무총장의 최대 과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국제분쟁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 이라크의 석유ㆍ식량 프로그램을 둘러싼 유엔 조직 내부의 비리 등으로 실추된 유엔의 도덕성을 회복하는 한편 유엔 내의 강대국과 개발도상국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일도 시급히 처리해야 할 숙제다. 그러나 그동안 사무총장의 역할은 한정돼 있었다. 초대 사무총장인 노르웨이 출신 트리그베 리에(45∼52년)를 비롯해 다트 함마르슈욜드(스웨덴ㆍ53∼61년), 우 탄트(미얀마ㆍ61∼71년), 크르트 발드하임(오스트리아ㆍ72∼81), 남미 출신인 하비에르 페레스(페루ㆍ82∼91년),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이집트ㆍ92∼96년)와 코피 아난(가나ㆍ97년~현재) 등 역대 총장들이 한결같이 강대국의 이해를 거스르지 못할 약소국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사무총장이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현직 코피 아난 사무총장이 최근 이란 핵 사태 등 국제분쟁이 발생할 때마다 사사건건 미국과 부딪히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코드가 맞는 총장의 필요성을 절감, 최근 지난 60여년간 불문율처럼 지켜왔던 ‘총장직 순환 보임 관행’을 바꿀 것을 안보리에 공식 제의하고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