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혁신도시내 기업·연구소·대학 유치를"

공공기관이 이전될 혁신도시가 지역발전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ㆍ연구소ㆍ대학이 혁신도시 내에 유치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부는 이를 위해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혁신도시 내 고급인력이 정착할 수 있도록 자립형 사립고, 과학고, 대안학교 등이 세워져야 하며 우수한 교원을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토지공사가 개최한 혁신도시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혁신도시 개발방향에 대한 제안이 쏟아졌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참석한 신동진 남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혁신도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을 구심점으로 해 기업ㆍ대학 등을 유치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또 “외부로부터 대기업 및 다국적 기업 등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토지의 무상임대, 저가분양 등을 검토하고 세제 혜택 및 금융, 기술 지원센터 등의 인프라를 구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교통ㆍ통신ㆍ교육ㆍ친환경 등의 수준 높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신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혁신도시 내 기업ㆍ대학ㆍ연구소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인센티브를 줄 경우 기존 도시 내 기관들이 옮겨감으로써 오히려 기존 지방도시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꼬집었다. 부동산투기에 대한 획기적인 방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덕복 한국토지공사 토지경제연구소장은 “혁신도시 건설이 전국토를 투기장으로 만든다는 비판이 있다”며“투기를 방지하기 위한 획기적이고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토지 및 주택거래 계약신고제도 도입 ▦온라인 전자계약제도 도입 ▦주택 및 토지선매제도 도입 및 개선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