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0대그룹 계열사 3분의 1 '재무 위험'… 80곳은 완전자본잠식

적자 계열사 비중은 3년새 7%P 올라 37%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 3곳 중 1곳은 부채비율이 과도하게 높거나 완전자본잠식에 빠져 있는 조사됐다.

국내 기업들의 순환출자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데다 사업 구조가 밀접하게 연계돼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계열사들의 부실 전이로 위험이 노출된 그룹들이 그만큼 많음을 보여준다.

11일 재벌닷컴이 '2014 회계연도 개별 감사보고서' 기준 공기업과 금융회사를 제외한 30대 그룹 계열사 1,050곳을 분석한 결과 완전자본잠식 상태 계열사는 80곳,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계열사는 246곳으로 파악됐다.

자본잠식이란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납입 자본금이 잠식되는 것을 의미하며 자본총계가 마이너스(-)로 접어든 것을 완전자본잠식이라고 한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보여주는 지표로 통상적으로 200%를 넘으면 재무구조가 건전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번 조사 결과는 30대 그룹 전체 계열사의 31.0%(326곳), 즉 3분의1 가까이가 재무 위험 상태에 있는 셈이다.

지난 2011년 같은 기준으로 재무 위험 상태로 분류되는 기업은 1,117개 계열사 중 296곳(26.5%)이었는데 3년 만에 재무 위험 계열사 비중이 4.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3년 전과 비교해 30대 그룹 계열사들의 재무 상태가 나빠졌음을 보여준다.

그룹별로는 이미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가동 중인 동부그룹의 재무 위험 계열사 비중이 지난해 61.0%로 가장 높았다. 동부는 전체 41개 계열사 가운데 완전자본잠식이 16곳, 부채비율 200% 초과 계열사가 9곳 있었다.

부영·한화·KCC·효성·OCI·대우조선해양·GS그룹 등도 재무 위험으로 볼 수 있는 계열사 비중이 40∼50%에 달했다.

주요 기업들의 재무 상태 악화는 경기 둔화와 경쟁력 약화 등에 따른 실적 부진 탓으로 분석된다.

30대 그룹 계열사 중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회사는 지난해 384곳으로 전체 계열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6%에 달했다. 2011년 기준 적자 계열사 수는 331곳으로 그 비중은 29.6%였다.

적자 계열사 비중이 3년 만에 7%포인트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적자 계열사 비중이 높은 그룹은 동부(63.4%)를 비롯해 포스코(58.0%), 부영(57.1%), GS(51.3%) 등으로 나타났다.

두산·대림·S-OIL·동국제강 등은 50.0%였다.


관련기사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