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주한미군 2사단장 “동두천 210화력여단, 평택 이전할 것”

“北장사정포 지역안정 큰 위협…대포병탐지레이더 추가배치”

답변하는 미2사단 마틴 소장. /의정부=연합뉴스 <BR><BR>답변하는 미2사단 마틴 소장. /의정부=연합뉴스





시어도어 마틴 주한미군 2사단장(소장)은 23일 “궁극적으로는 미 2사단 전체가 평택의 캠프 험프리로 이전할 것”이라며 “동두천의 210화력여단이 가장 마지막으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틴 소장은 이날 경기 의정부 미 2사단사령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정부의 캠프 레드클라우드와 동두천의 캠프 케이시, 캠프 허비도 평택으로 이전할 계획이며 2016년부터 이전을 시작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10 화력여단의 평택 이전을 미군 장성이 확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한미 양국은 ‘한국군이 독자적인 대북 억지력을 확보할 때까지 210화력여단이 동두천에 잔류할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정부는 210 화력여단의 이전 지연에 따른 피해보상으로 2조 3,064억원의 중앙정부 지원을 요청한 동두천시에 대해 2,020년까지 4,495억원을 지원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다.


210화력여단은 오는 2020년 중반께로 예상되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맞춰 평택으로 이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연장로켓(MLRS)과 전술지대지(ATACMS), 신형 다연장로켓 발사기(M270A1) 등으로 무장한 210화력여단은 북한이 전면전을 감행하면 북한군의 장사정포와 방사포 진지 등을 무력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지난 3월에는 MLRS 1개 대대가 순환 배치되어 3개 대대로 늘었으며 북한군 장사정포 탐지용 대포병레이더를 추가 배치했다고 마틴 소장은 전했다.

관련기사



마틴 소장은 경기 북부지역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해도 대비태세에 문제가 없느냐는 질문에 대해 “1지역(경기북부)이든 3지역(평택)이든 크게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주둔지만 바뀔 뿐이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투태세 유지를 위해 훈련과 각종 실사격 훈련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사단 예하 모든 병력이 평택에 주둔하더라도 (경기북부에 있는) 기동훈련장과 사격장은 그대로 이용할 것”이라며 “유사시 철도나 도로를 이용해 모든 전력을 (경기북부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위기 사태 때에도 큰 문제 없이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사건 당시 2사단의 대비태세와 관련, “한국군이 전투태세를 격상했을 때 우리(미군)도 동일하게 했다”면서 “당시 예하부대 모든 지휘소에 목함지뢰 사건으로 부상한 한국군 장병 2명의 얼굴 사진을 붙여놓으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의 포격 도발 당시에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중이었다”며 “사단 예하 모든 부대가 들판에 전개한 상태였기 때문에 포격 도발이 발생했을 때 실제 전쟁터로 나갔을 때와 동일한 수준인 최고 경계태세를 갖추고 있었다”고 말했다.

마틴 소장의 아버지와 삼촌은 6·25전쟁에 참전했으며 그의 삼촌은 의정부에서 부상했다. 미 2사단은 올해 한반도 주둔 50주년을 맞았고 2017년에는 창설 100주년을 맞는다. 마틴 소장은 “한국에 근무하는 것이 저의 운명이라 생각했다”며 “의정부라는 도시에 대해 마음의 동경을 가지고 바라봤는데 한미동맹의 일원으로 의정부에서 근무하는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의정부=국방부 공동취재단·권홍우기자 hongw@sed.co.kr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