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공군 모집병 뽑을 때 중고교 성적 안본다

명문대 쏠림현상 완화 위해 기술 등 전문성 평가로 선발

오는 12월부터 해군과 공군·해병대 모집병 선발 과정에서 중고교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다. 이는 해군과 공군에 명문대 재학생들의 지원이 몰리며 '군 입대도 성적순'이라는 사회적 여론이 조성된 데 따른 것이다. 군은 그동안 성적 반영 비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해왔으나 국정감사 등에서 문제가 지적되자 완전 폐지로 가닥을 잡았다.

병무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새로 적용되는 모집병 선발 제도를 소개했다. 모집병은 징집병과는 달리 기술·전공·경력 등에 따라 특기별로 지원해 입대한 병사를 가리킨다.

병무청은 해·공군, 해병대 모집병을 일반 분야와 기술 분야로 나눠 선발했으나 기술 분야로 통합하고 중고교 성적 대신 자격과 면허·전공 등 특기별 전문성 평가 위주로 뽑을 계획이다. 기존 선발 과정에서는 기술병을 뽑는 데도 자격과 면허보다는 중고교 성적이 좋은 명문대 재학생 쏠림현상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또 육군에만 적용돼온 '맞춤특기병' 제도는 다음달부터 해·공군으로 확대된다. 맞춤특기병은 입대를 앞두고 일정 기간 기술훈련을 받은 다음 군에서 기술특기병으로 근무하고 전역 이후에는 취업지원을 받는다.

병무청은 또 육군기술행정병 중 야전공병·견인포·자주포 등 4개 특기의 모집 선발을 폐지하고 육군기술행정병 전형에서 신체등위 점수를 고교 출석률로 대체했다.

병무청은 모집병 지원자가 자신의 합격 가능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합격 가능 예측 자가진단 시스템'을 구축, 12월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이번에 바뀌는 현역병 모집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은 병무청 웹사이트(http://www.mm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