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성장둔화라는 이른바 '주요2개국(G2) 리스크'를 글로벌 경제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지목하고 신흥국의 가계·기업 부채 등 민간 부문 부채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23일 연세대에서 열린 한은·연세대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신흥국으로 흘러갔던 자금이 환류돼 신흥국이 통화절하·주가하락 등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하고 실물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금융·실물 불안으로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동반 성장해온 신흥국들의 금융안정이 저해되고 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우려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성장둔화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구조적 변화이므로 각국은 이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민간부채의 증가속도를 완화하고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경제 대국이 각각 통화정책과 성장모델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가피한 현상이고 그동안 신흥국들은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을 제고해왔다고 덧붙였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이 총재는 23일 연세대에서 열린 한은·연세대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통해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신흥국으로 흘러갔던 자금이 환류돼 신흥국이 통화절하·주가하락 등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하고 실물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금융·실물 불안으로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동반 성장해온 신흥국들의 금융안정이 저해되고 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우려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성장둔화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구조적 변화이므로 각국은 이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민간부채의 증가속도를 완화하고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경제 대국이 각각 통화정책과 성장모델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가피한 현상이고 그동안 신흥국들은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을 제고해왔다고 덧붙였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