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환경부, 폭스바겐 문제 알고도 늑장대응"

한정애 "2013년 보고서 10배 초과

여야가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사태에 대한 환경부의 늑장대응을 질타했다. 아울러 환경부가 이미 지난 2013년 폭스바겐 자동차의 배기가스 문제를 알고도 논란이 불거진 지금까지 사실상 방치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정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7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립환경과학원의 2013년 보고서를 보면 실질 운전조건을 재현해 실험한 결과 폭스바겐 자동차의 배출가스 배출량이 기준보다 최대 10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온다"며 "환경부가 2013년에 폭스바겐과 아우디에 배출가스 부품인 PCV 밸브와 배기가스 온도 센서 문제와 관련, 리콜 명령을 내렸는데 이행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그 당시 관련 규정에 리콜을 완료해야 하는 시한이 없었다"고 답했다. 한 의원은 "윤 장관은 폭스바겐코리아를 사랑하느냐"며 "리콜 조치가 미뤄지고 있다면 환경부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여야 의원들은 현재 환경부가 폭스바겐 자동차에 실내검사와 도로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폭스바겐의 조작 프로그램을 밝혀낼 능력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국토교통위 소속 정성호 새정연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현대·기아자동차도 폭스바겐과 같은 방식으로 디젤차 배기가스를 조작한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2012년 현대·기아차 '투싼'과 '스포티지' 디젤 모델 인증 당시 배기가스 수치와 시판차의 배기가스가 다른 점을 적발하고 2억6,000만원의 과징금과 리콜을 명령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는 이에 대해 "ECU 프로그래밍을 변경한 것은 환경부의 시정권고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지 타사 사례처럼 주행 중 배출가스 순환장치를 조작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맹준호·박형윤기자 next@sed.co.kr


관련기사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