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의화 의장, 선거구 최후통첩

여야 대표에 사실상 253석안 제시… 5까지 합의 종용

정의화 국회의장이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마지막 중재안을 제시하고 여야 합의를 종용했다. 하지만 여야 간 입장차가 전혀 좁혀지지 않은 상태여서 합의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 의장은 4일 오전 김·문 대표와 함께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오찬 회동을 갖고 "더 이상 선거구 획정 합의를 늦출 수 없다"며 마지막 제안을 했다. 정 의장은 현행 안(지역구 246석, 비례 54석)과 지역구를 253석으로 늘리되 비례성 보완을 위한 대안을 담은 두 가지 안을 양당 대표에게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아홉 차례의 회의를 통해 가장 '접점'에 근접했다고 본 두 개 안을 다시 내민 것이다.

정 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나름의 중재안을 주고 돌아가서 의논해보라고 얘기했다"며 "내일까지는 답을 줘야 남은 기간 동안 뭔가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사실상 '최후통첩' 격인 이번 제안까지 여야가 거부할 경우 구상하고 있는 긴급대책을 공개할 계획이다. 정 의장은 "생각하고 있는 대안이 있지만 지금 얘기할 수는 없다"며 "내일 얘기를 듣고 (결과에 따라)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 의장 측의 한 관계자는 "국회 기능이 붕괴 일보 직전인데 더 이상 뒤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여야가 알아야 한다"고 여야 합의를 강하게 촉구했다.

사실상 현행 안은 가능성이 희박해진 상황에서 쟁점은 지역구 253석 안에 대한 수용 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는 앞선 논의를 통해 지역구를 253석으로 늘리고 비례대표를 47석으로 줄이는 큰 틀에는 합의한 상태다. 다만 이와 연계해 야당이 주장하는 비례성 보완책 또는 선거연령 인하 문제를 여당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여야 대표에게 마지막 공이 다시 넘어가면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는 이날 전체회의 일정을 취소하고 국회 상황을 살피기로 했다.

한편 정 의장은 여당이 주장하는 경제활성화법안 등 쟁점 법안과 선거구획정안의 연계 방침에 대해 '불가'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정 의장은 이날 청와대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후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경제 법안과 선거구 획정 문제는 완전한 별개 문제이기 때문에 연계 추진은 안 된다"는 취지로 전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