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사이드 스토리] "한국형 화물창 써줘야" 정부·가스公이 달래기 나선 듯

SK E&S, LNG선 발주 계획 바꾸려는 이유는

우선협상대상자 현대重 수주 기회 날리나 우려

SK E&S의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발주 계획이 바뀔 조짐을 보이고 있다. LNG선의 핵심, 화물창(적재 공간) 때문이다.

SK E&S는 지난해 9월 LNG선 화물창의 대세인 프랑스 엔지니어링사 GTT가 고안한 '마크Ⅲ'로 2~3척을 짓기로 하고 지난달 현대중공업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한국형 화물창 'KC-1'을 한국 기업과 해운사부터 믿고 써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SK E&S가 KC-1을 다시 들여다보기로 한 것이다.

4일 조선·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6일 한국가스공사와 SK E&S, SK해운 등과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실무 회담을 연다. 논의 주제는 SK E&S가 LNG선을 발주할 때 KC-1을 채택하지 않은 이유와 KC-1의 안정성 등이다. 현재 LNG선 대부분은 GTT 화물창을 채용한다. 조선소는 척당 100억원가량의 로열티를 내는데 한국의 연간 지급액만 3,000억원에 달한다. 이에 정부는 2004년부터 한국가스공사와 국내 조선 대형 3사 등과 함께 KC-1 개발을 추진했고, 2014년 10년간 노력의 결실을 봤다. KC-1은 국내외 선급(선박 검사기관)으로부터 품질인증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 덕에 건조비용도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직 실전에 투입된 사례가 없고 GTT 화물창이 워낙 오랜 기간 애용돼 좀처럼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모처럼 국내에 발주된 LNG선마저 GTT를 고르자 정부와 가스공사 등이 SK E&S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KC-1에 시급한 것은 건조실적"이라며 "한국에서도 채택이 안 된 화물창을 외국에 팔 수 있겠냐"고 말했다.

SK E&S가 이미 우선협상대상자까지 정한 만큼 결정을 바꿀지는 미지수다. KC-1 LNG선을 발주하기로 방침이 돌아선다면 입찰이 다시 이뤄지면서 현대중공업은 공들여 얻은 수주기회를 날리고 출발선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가스공사의 한 관계자는 "실무자들끼리 만나는 자리라 바로 결론이 나오지는 않는다"며 "KC-1이 채택된다면 이전 입찰가보다는 금액이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3사 모두 KC-1 공동개발에 참여한 만큼 누구나 건조할 수 있다. 다만 새 형태의 LNG선을 지으려면 족장(발판·통로) 제작과 직원 교육 등 초기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빅3 중에는 2014년 가스공사로부터 KC-1 LNG선 2척을 수주(2017년 9월 인도예정)한 삼성중공업만 인프라를 갖췄다.



관련기사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