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직업병 예방 옴부즈맨위 설립…종합진단·역학조사 실행키로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직업병 발병을 미리 막기 위해 외부 독립기구인 옴부즈맨위원회가 설립된다. 옴부즈맨위는 종합진단과 역학조사를 실행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보건관리팀 등 내부 재해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건강지킴이 제도를 신설한다.

12일 삼성전자와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는 서울 서대문구 법무법인 지평 사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재해예방대책’에 관한 최종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지난 2007년 3월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공장 여성근로자 황유미씨의 급성 백혈병 진단 이후 불거졌던 삼성전자 직업병 문제가 사실상 해결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2007년 이후 약 8년10개월만의 합의다.


합의서에 따르면 옴부즈맨위원회는 삼성전자의 외부 독립 기구로서 반도체 사업장 등의 근로환경과 직업병의 인과관계를 확인·점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옴부즈맨위 위원장은 이철수 서울대 법학과 교수가 맡는다. 이 위원장은 노사관계학회 등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해온 노동법 전문가다. 옴부즈맨위는 위원장과 위원 2명으로 구성되며 이 위원장이 위원들을 선임하는 구조다.

관련기사



옴부즈맨위는 구체적으로 종합진단과 환경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조사를 거쳐 건강검사 체제 개선과 건강증진대책 마련을 삼성 측에 요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내부 재해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내부 보건관리팀의 조직과 규모, 역할을 강화하고 건강지킴이 센터를 신설해 운영하기로 했다. 또 건강연구소를 통해 보상 및 연구 활동을 할 계획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