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업무보고] 드론·자율주행차·로봇… 8조5000억 금융지원

■ 산업부

철강·조선등 과잉업종… 자발적 구조조정 압박

정부가 무인기·자율주행자동차·로봇 등의 분야에서 미래 먹거리를 만들기 위해 8조5,000억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상반기 중 석유화학·철강·조선 등 공급 과잉 업종의 생산현황 등을 담은 분석보고서를 내놓아 기업의 자발적 구조조정을 압박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경기도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이런 내용의 '2016년 업무계획'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산업부는 그간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주력산업의 위기로 신성장동력 마련이 절실하다고 보고 과감한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일단 산업 고도화를 위해 산업부와 중소기업청이 2조5,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하고 한국전력도 에너지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2조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기업투자 촉진 프로그램을 통해 3조원을, 기업은행도 1조원 규모의 금융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총 8조5,000억원의 투자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산업을 비롯해 고급 소비재, 에너지 신산업 등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무인기(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비행허가구역도 확대한다. 정부는 아울러 지능형 로봇과 웨어러블디바이스·스마트홈 기술 개발에 나서는 한편 중국 공략을 위한 화장품·식료품 등 고급 소비재 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늙어가는 주력산업의 사업 재편도 가속화된다. 석유화학·철강·조선 등이 대상이다. 정부는 상반기 산업구조조정협의체를 만들어 국내 기업의 설비와 생산현황 등을 담은 분석보고서를 내기로 했다. 자발적인 구조개혁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민간을 중심으로 61조원(반도체 41조원·디스플레이 14조원)에 달하는 투자로 후발주자를 따돌리는 전략을 짰다.


관련기사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