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학생 10명 중 7명 "대기업의 중기 영역 잠식은 잘못"

중기중앙회 인식조사, 적합업종 법제화로 효율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

우리나라 대학생 10명 중 7명은 대기업의 중소기업 사업영역 침범은 ‘잘못된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제도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적합업종 법제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9일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한 인식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71.0%가 대기업이 영세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사업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해 시장을 잠식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합업종 제도를 현재와 같이 민간(동반성장위원회)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식과 이행 강제수단 강화를 위한 법률 제정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법제화 찬성’이 74.1%로 나타나, 강제수단을 통한 효율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는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생존기반 보호,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하는 골목상권 보호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4%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기간을 현행 최장 6년(3년 + 3년)에서 8년(3년 + 5년)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3%가 ‘기간 연장이 바람직하다’고 응답, 적합업종 제도의 실효성 제고에 공감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중소기업 적합업종과 관련, 기득권 강화를 위한 경쟁논리를 앞세워 대기업들이 유발하는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논쟁에 대해 미래세대인 대학생들의 견해를 조사한 것”이라며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제도효율성 강화를 위해서는 적합업종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대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