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 도내 농업경영비 매년 증가…증가요인 1위는 재료비

경기농기원, 식량작물 경영변화 트렌드 분석 결과 발표

경기 도내 쌀, 콩, 고구마 농가 68.3%의 경영비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식량작물 생산 농가 63호(쌀 37호, 콩 18호, 고구마, 8호)를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경영비 증가는 △재료비(44.2%) △인건비(30.2%) △임차료(18.6%) △영농광열비(4.6%) △종묘비(2.3%) 순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큰 요인은 재료비 증가로 파악됐다. 이는 친환경 농자재, 영양제, 유기질 비료 등 고가 재료 사용을 통해 품질을 개선하고 판로를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비용(포장재 등)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인건비 증가도 키워드로 꼽혔다. 이는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탁영농이 자가노동 및 품앗이, 단순고용보다 농작업 효율성이 높아 농업인들이 선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경영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장수요에 맞춘 신품종 및 신기술 도입과 재해예방 등을 통해 소득향상을 이룬 농가는 15.9%로 집계됐다. 소득 향상을 이룬 농가들은 모두 도매시장 보다 농협이나 소비자 직접 판매 비중을 높이면서 소득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농기원은 경영 변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농정, R&D에 반영할 수 있도록 농기원 홈페이지(nongup.gg.go.kr) ‘경기농업 FOCUS’에 자료집을 제공할 예정이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co.kr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