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안수사 핵심 서울중앙지검 공안부 넘버2에 여검사 차지

공안수사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공안부 ‘넘버2’에 여검사가 임명됐다. 서울중앙지검의 공안부는 여검사에게 힘든 조직으로 인식돼 왔지만, 여풍이 워낙 거세 처음으로 자리를 내준 것이다.

관련기사



서울중앙지검은 27일 2016년 상반기 인사에 따라 공안2부 부부장 검사에 박성민(사법연수원 31기) 검사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공안부에 여검사가 배치된 사례는 있지만, 부부장을 맡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지검은 또 형사·조사·특수부 등 주요 수사부 수석검사 자리에도 여검사를 전진배치 했다. 특수3부 수석 검사 자리에 지난해 특수3부 소속으로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에서 활동한 최영아(사법연수원 32기) 검사를 파격 발탁했다. 보험사기 사범 인지 등을 도맡아 처리한 김용자(32기) 검사는 형사4부, KAIST 지식재산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는 등 관련 전문성을 갖춘 양선순(33기) 검사가 형사6부 수석을 각각 맡았다. 조사1부 수석 검사에는 구태연(사법연수원 32기) 검사를, 여성아동범죄보사부·공정거래조세조사부 수석 검사에는 각각 한진희(사법연수원 33기) 검사, 김향연(사법연수원 32기)를 각각 배정했다. 이순옥(사법연수원 35기)·전수진(사법연수원 37기)·송민경(사법연수원 37기)·홍희영(사법연수원 38기)·장려미(사법연수원 38기)·권현유(사법연수원 34기)·장진영(사법연수원 36기) 검사를 특수·강력·방위사업수사·공공형사수사·조사부에 각각 배치했다. 검찰 관계자는 “풍부한 수사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여검사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주요 보직 업무 경험으로 실력과 자질을 겸비한 여검사들이 리더로서 성장 기반을 다질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 1월 현재 전체 검사 1,985명 가운데 여검사는 559명(28.2%)으로 3명 중 한 명 꼴이다. 서울중앙지검에는 총 211명 중 16.6%에 해당하는 35명이 여검사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