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담배값 인상 지방세수에 영향 미미…지방교육세는 감소

경기도, 담뱃값에 붙는 국세인 개별소비세 지방세로 전환 필요

담배값 인상으로 국세가 크게 증가했으나 지방세수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담배소비량은 7억1,000만갑으로 전년 10억2,000만갑보다 약 30% 감소했으며, 시군세인 담배소비세 징수액은 7,13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780억원 보다 352억원(5.2%) 증가한 액수이나, 직전년도 증가율인 6%에 미치지 못했으며, 그나마 지방교육세는 오히려 6.7%인 227억원이 감소했다.


이는 지방교육세율이 종전 담배소비세액의 50%에서 43.99%로 낮아진 때문이다. 2014년 3,390억원에서 2015년 3,163억원으로 줄었다.

관련기사



경기도는 담배에 부과하는 국세인 개별소비세가 신설되고, 건강증진부담금이 종전보다 2배 이상 올라 세금 증가분이 상당수 국고에 귀속됐지만 지방세는 담배 판매량 감소의 직접적 영향을 받아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나마 담배에 부과하는 개별소비세 총액의 20%를 소방안전교부세로 지방에 교부하고 있으나, 올해 경기도에 배분된 금액은 265억원으로 담배값 인상에 따른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담배 값을 2,500원에서 4,500원으로 2,000원 인상하면서 담배에 부과되는 각종 세금을 인상하거나 신설했었다.

경기도 관계자는 “담배소비세는 시군세인 농지세 폐지에 따른 시군의 재원확보를 위해 도입됐고, 전통적인 지방재정의 한 축을 담당했던 세목”이라며 “사치품 등에 부과되는 국세인 개별소비세를 담뱃값에 부과하기 보다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해 주민 안전재원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co.kr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